본문 바로가기
2010.07.19 13:40

한글

조회 수 8787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글

‘한글’은 조선조 세종 시대에 만들어져 지금까지 쓰이고 있는 우리 글자의 이름이다. 세종 시대에 처음 이 글을 반포할 때는 ‘훈민정음’이라 했다. 그러나 조선 사회의 사대부들은 한글을 쓰는 것을 꺼린 나머지 이를 업신여겨 언문, 암글이라 하기도 했다. 심지어는 통싯글이라 부르기도 했으니 조선 시대의 한글은 사람으로 치면 천민이나 다름없었다. 조선 말에 이르러 우리글에 ‘한글’이란 이름을 붙인 이는 주시경 선생이다.

“우리가 한글보다 과학성이 뒤떨어진 영어를 배우는 이유는 폭넓고 수준 높은 지식, 즉 콘텐츠가 풍부하기 때문이다.” ‘한글 경쟁력을 높이는 번역’이라는 제목의 신문 칼럼에서 잘라온 구절이다. 칼럼에서는 한글과 영어를 대비시켜 이야기를 풀어나가고 있다. 한글과 영어는 비교 대상이 아니다. 한글은 글자이고 영어는 언어이기 때문이다. 한글의 비교 대상은 알파벳이고, 영어의 비교 대상은 한국어이다.

‘한글’을 ‘한국어’와 동일시하는 경우를 더러 볼 수 있다. 잘못된 일이다. 이런 잘못은 한글 전용이냐 한자 혼용이냐 하는 글자 사용 논쟁을 순우리말 사용이냐 한자어 사용이냐 하는 어휘 사용 논쟁과 뒤섞어 버림으로써 논쟁의 초점을 흐리기도 한다.

설령 ‘한글’을 ‘한국어’와 같은 의미로 썼다고 하더라도 납득할 수 없다. 영어가 한국어보다 과학성이 떨어진다는 주장에 동의할 사람이 얼마나 있겠는가? 한글이 세계 최고의 문자라는 데는 동의하지만, 한국어가 영어보다 뛰어난 언어라는 데는 고개가 저어진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64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24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102
1148 성과 이름 바람의종 2009.03.08 7560
1147 주먹구구 바람의종 2007.05.18 7558
1146 비싼 돈, 싼 돈 바람의종 2010.02.06 7557
1145 주인공과 장본인 바람의종 2008.09.18 7551
1144 바람직안해 바람의종 2009.10.28 7547
1143 모아지다 바람의종 2008.11.25 7545
1142 배식 바람의종 2009.02.03 7544
1141 날래다와 빠르다 바람의종 2008.01.29 7541
1140 둥글레 바람의종 2008.05.10 7541
1139 미꾸라지 바람의종 2007.12.21 7538
1138 마진 바람의종 2009.11.24 7536
1137 개양귀비 바람의종 2008.01.25 7535
1136 눈살, 등쌀 바람의종 2009.03.04 7534
1135 서울 風磬 2007.01.19 7533
1134 무크(지) 바람의종 2009.11.08 7532
1133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8.10.30 7532
1132 그치다와 마치다 바람의종 2008.01.15 7531
1131 젠 스타일 바람의종 2008.11.20 7526
1130 잠바 바람의종 2008.11.25 7525
1129 도락 바람의종 2007.06.26 7525
1128 칼럼리스트 바람의종 2010.03.05 7525
1127 깽깽이풀 바람의종 2008.03.06 75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