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7.18 17:02

오랑우탄 아들

조회 수 9842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오랑우탄 아들

아들과 딸을 함께 일러 자식이라고 한다. 한자 구성으로는 아들은 자식(子息), 딸은 여식(女息)이지만, 자식은 딸과 아들에 두루 쓰인다. 여식에 정확히 대칭하는 말은, 남식(男息)이라는 말이 통용되지 않는 한 없다고 할 수밖에 없다. 동물에게는 ‘아들, 딸, 자식, 여식’ 등의 말은 쓰지 않는다. ‘아버지, 어머니, 아빠, 엄마’ 등의 말도 마찬가지다. 동물은 ‘새끼’라고 하고 ‘어미, 아비’라고 한다. 그런데 ‘어미돼지, 새끼돼지’는 좋은데 ‘아비돼지’는 좀 낯설게 느껴진다. 많이 쓰이지 않았기에 낯선 것이다. 동물에게 아비는 생물학적 의미 외에는 거의 의미가 없다. ‘아비’는 가정이라는 것이 갖추어졌을 때 존재감이 드러나는 말이다.

“6년 만에 오랑우탄 늦둥이 아들 출산” 용인 에버랜드 동물원 사육사들의 활동을 다룬 신문기사 제목이다. 오랑우탄에게 ‘아들’이란 말을 썼다. 바르지 못한 말을 썼다고 할 생각은 없다. 사육사들의 눈물겨운 노력 끝에 본 경사를 신문이 이렇게 표현했을 것으로 보인다. 그냥 ‘새끼’라고 하면 수컷인지 암컷인지가 드러나지 않으므로 그렇게 썼을 수도 있겠다. 하지만 통상적인 쓰임은 아니다. ‘수컷 새끼’가 통상적인 말이다. 그런데 동물에게 ‘아기, 엄마, 아빠’ 등의 말이 더러 쓰이고 있다. 동요의 영향으로 생각된다. 동요 ‘송아지’에서 “엄마소도 얼룩소” 하는 대목이 있다. “아빠곰, 엄마곰, 애기곰” 하는 동요도 한몫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동요는 어디까지나 동요일 뿐이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84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30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252
1236 "가지다"를 버리자 바람의종 2008.07.31 9814
1235 강냉이, 옥수수 바람의종 2011.10.27 9814
1234 초콜릿, 발렌타인데이 바람의종 2010.02.25 9817
1233 미혼남·미혼녀 바람의종 2007.11.02 9821
1232 일벗 사이 바람의종 2008.04.13 9822
1231 식혜와 식해 바람의종 2010.05.06 9822
1230 수진이 고개 바람의종 2008.03.13 9824
1229 상채기, 상흔, 생재기 바람의종 2008.12.18 9824
1228 고니 바람의종 2009.11.29 9833
1227 너댓개 바람의종 2008.12.10 9840
1226 으악새 바람의종 2008.01.31 9841
» 오랑우탄 아들 바람의종 2010.07.18 9842
1224 답습 바람의종 2007.06.24 9842
1223 가능하느냐 / 가능하냐 바람의종 2012.06.01 9843
1222 아우라 바람의종 2010.03.08 9850
1221 흥정 바람의종 2009.06.09 9860
1220 발목이 접(겹)질려 바람의종 2009.06.17 9861
1219 아저씨 바람의종 2010.05.08 9864
1218 문책과 인책 바람의종 2010.11.02 9865
1217 아스팔트와 아부라 바람의종 2010.01.22 9866
1216 다반사 바람의종 2010.09.03 9866
1215 전철을 밟는다 바람의종 2008.01.29 987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