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7.17 09:03

물사마귀

조회 수 11305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물사마귀

낱말이 다른 낱말과 어울릴 때 없던 소리가 덧나기도 하고, 있던 소리가 없어지기도 한다. 소리가 덧나는 현상을 ‘음운첨가’, 소리가 없어지는 현상을 ‘음운탈락’이라고 한다. 이때 표기는 그대로 두고 소리만 첨가 또는 탈락되기도 하고, 표기까지 바뀌기도 한다. ‘꽃잎’이 [꼰닙]으로 소리 나는 것이 음운첨가다. 이때 표기는 바뀌지 않는다. ‘활’과 ‘살’이 어울리면 ‘활살’이지만, [ㄹ]이 탈락하여 ‘화살’이 된다. 이때는 표기까지 바뀐다.

“물사마귀가 생겼을 때는 손톱으로 긁거나 칼로 째지 말아야 한다.” 중앙 일간지 기사에서 따온 구절이다. 대부분의 사전들은 ‘물사마귀’는 올려놓지 않고 ‘무사마귀’만 올려놓았지만, 표준국어대사전은 두 낱말을 동의어로 함께 올려놓았다.

한글맞춤법 제28항은 “끝소리가 ‘ㄹ’인 말과 딴말이 어울릴 적에 ‘ㄹ’ 소리가 나지 않는 것은 아니 나는 대로 적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은 [ㄹ] 소리가 나기도 하고, 나지 않기도 한다고 본 것으로 이해된다.

[ㄹ]은 우리말 자음 중에서 개구도(명료도)가 가장 큰 자음이다. 따라서 조사의 결합이나 어미활용에서도 예외를 보인다. 자음으로 끝난 낱말은 조사 ‘으로써’와 결합하지만 ‘ㄹ’로 끝난 낱말은 ‘로써’와 결합한다. 명사형어미도 ‘-음’이 아니라 ‘-ㅁ’과 결합한다. ‘불로써’(×불으로써), ‘삶’(×살음) 등이 예다. 복합어에서도 ‘ㄹ’은 ‘ㄴ, ㄷ, ㅅ, ㅈ’ 앞에서 탈락이 잦다. ‘따님, 미닫이, 부삽, 싸전’ 등은 ‘ㄹ’이 탈락한 복합어이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41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01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742
2028 스프링클러, 랜터카 바람의종 2008.06.27 5383
2027 스포츠 중계 바람의종 2012.08.17 11649
2026 스펙 바람의종 2009.07.15 5486
2025 스킨십 바람의종 2009.08.04 7348
2024 스크린 도어 바람의종 2010.03.02 9044
2023 스스로를? 바람의종 2009.04.09 5950
2022 스스럼없다 風磬 2007.01.19 13027
2021 스끼다시 바람의종 2008.02.16 12708
2020 쉽게 찾기 바람의종 2007.11.03 6721
2019 쉼표 하나 바람의종 2010.07.12 8820
2018 쉬다와 놀다 바람의종 2007.10.14 10507
2017 쉐보레 유감 바람의종 2011.10.25 10175
2016 숫컷, 숫소? 바람의종 2008.09.30 4938
2015 숫자의 속음들 바람의종 2010.08.06 8297
2014 숫구미 바람의종 2008.09.03 7845
2013 술이홀과 파주 바람의종 2008.04.22 7770
2012 술과 음식 바람의종 2010.02.15 8373
2011 숟가락, 젓가락 바람의종 2008.07.21 8421
2010 숟가락 바람의종 2010.05.28 12000
2009 순직 風文 2022.02.01 1639
2008 숙제 바람의종 2007.07.28 5160
2007 숙맥 바람의종 2010.05.30 93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