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7.17 09:03

물사마귀

조회 수 11264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물사마귀

낱말이 다른 낱말과 어울릴 때 없던 소리가 덧나기도 하고, 있던 소리가 없어지기도 한다. 소리가 덧나는 현상을 ‘음운첨가’, 소리가 없어지는 현상을 ‘음운탈락’이라고 한다. 이때 표기는 그대로 두고 소리만 첨가 또는 탈락되기도 하고, 표기까지 바뀌기도 한다. ‘꽃잎’이 [꼰닙]으로 소리 나는 것이 음운첨가다. 이때 표기는 바뀌지 않는다. ‘활’과 ‘살’이 어울리면 ‘활살’이지만, [ㄹ]이 탈락하여 ‘화살’이 된다. 이때는 표기까지 바뀐다.

“물사마귀가 생겼을 때는 손톱으로 긁거나 칼로 째지 말아야 한다.” 중앙 일간지 기사에서 따온 구절이다. 대부분의 사전들은 ‘물사마귀’는 올려놓지 않고 ‘무사마귀’만 올려놓았지만, 표준국어대사전은 두 낱말을 동의어로 함께 올려놓았다.

한글맞춤법 제28항은 “끝소리가 ‘ㄹ’인 말과 딴말이 어울릴 적에 ‘ㄹ’ 소리가 나지 않는 것은 아니 나는 대로 적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은 [ㄹ] 소리가 나기도 하고, 나지 않기도 한다고 본 것으로 이해된다.

[ㄹ]은 우리말 자음 중에서 개구도(명료도)가 가장 큰 자음이다. 따라서 조사의 결합이나 어미활용에서도 예외를 보인다. 자음으로 끝난 낱말은 조사 ‘으로써’와 결합하지만 ‘ㄹ’로 끝난 낱말은 ‘로써’와 결합한다. 명사형어미도 ‘-음’이 아니라 ‘-ㅁ’과 결합한다. ‘불로써’(×불으로써), ‘삶’(×살음) 등이 예다. 복합어에서도 ‘ㄹ’은 ‘ㄴ, ㄷ, ㅅ, ㅈ’ 앞에서 탈락이 잦다. ‘따님, 미닫이, 부삽, 싸전’ 등은 ‘ㄹ’이 탈락한 복합어이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75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24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259
2336 뒤웅스럽다 風磬 2006.11.16 7500
2335 뒤죽박죽, 말썽꾼, 턱스크 風文 2022.08.23 1214
2334 뒤처리 / 뒷처리 바람의종 2008.06.07 20379
2333 뒤처지다 / 뒤쳐지다 바람의종 2012.03.27 13231
2332 뒤처지다, 뒤쳐지다 바람의종 2012.09.21 12695
2331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287
2330 뒷간이 바람의종 2008.09.18 7982
2329 뒷담화 바람의종 2007.12.13 7153
2328 뒷담화 바람의종 2009.06.15 6965
2327 뒷담화 風文 2020.05.03 1050
2326 뒷담화 보도, 교각살우 風文 2022.06.27 1126
2325 뒷자석, 뒤 자석, 뒷번호, 뒤 번호 바람의종 2009.11.08 11099
2324 드라비다말 바람의종 2008.01.02 6949
2323 드라이브 스루 風文 2023.12.05 1390
2322 드론 바람의종 2012.10.15 12265
2321 드셔 보세요 바람의종 2008.03.13 7536
2320 들르다/들리다, 거스르다/거슬리다, 구스르다/구슬리다 바람의종 2008.05.24 12449
2319 들르다와 들리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3.02 11601
2318 들어눕다 / 드러눕다, 들어내다 / 드러내다 바람의종 2012.08.16 20731
2317 들여마시다 바람의종 2010.01.28 8490
2316 들이키다, 들이켜다 바람의종 2008.09.09 10291
2315 들쳐업다 바람의종 2009.07.28 965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