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7.17 09:03

물사마귀

조회 수 11302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물사마귀

낱말이 다른 낱말과 어울릴 때 없던 소리가 덧나기도 하고, 있던 소리가 없어지기도 한다. 소리가 덧나는 현상을 ‘음운첨가’, 소리가 없어지는 현상을 ‘음운탈락’이라고 한다. 이때 표기는 그대로 두고 소리만 첨가 또는 탈락되기도 하고, 표기까지 바뀌기도 한다. ‘꽃잎’이 [꼰닙]으로 소리 나는 것이 음운첨가다. 이때 표기는 바뀌지 않는다. ‘활’과 ‘살’이 어울리면 ‘활살’이지만, [ㄹ]이 탈락하여 ‘화살’이 된다. 이때는 표기까지 바뀐다.

“물사마귀가 생겼을 때는 손톱으로 긁거나 칼로 째지 말아야 한다.” 중앙 일간지 기사에서 따온 구절이다. 대부분의 사전들은 ‘물사마귀’는 올려놓지 않고 ‘무사마귀’만 올려놓았지만, 표준국어대사전은 두 낱말을 동의어로 함께 올려놓았다.

한글맞춤법 제28항은 “끝소리가 ‘ㄹ’인 말과 딴말이 어울릴 적에 ‘ㄹ’ 소리가 나지 않는 것은 아니 나는 대로 적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은 [ㄹ] 소리가 나기도 하고, 나지 않기도 한다고 본 것으로 이해된다.

[ㄹ]은 우리말 자음 중에서 개구도(명료도)가 가장 큰 자음이다. 따라서 조사의 결합이나 어미활용에서도 예외를 보인다. 자음으로 끝난 낱말은 조사 ‘으로써’와 결합하지만 ‘ㄹ’로 끝난 낱말은 ‘로써’와 결합한다. 명사형어미도 ‘-음’이 아니라 ‘-ㅁ’과 결합한다. ‘불로써’(×불으로써), ‘삶’(×살음) 등이 예다. 복합어에서도 ‘ㄹ’은 ‘ㄴ, ㄷ, ㅅ, ㅈ’ 앞에서 탈락이 잦다. ‘따님, 미닫이, 부삽, 싸전’ 등은 ‘ㄹ’이 탈락한 복합어이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14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77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469
2336 미스킴라일락 바람의종 2008.08.28 7798
2335 돼지 바람의종 2008.08.28 6225
2334 좋은 하루 되세요 바람의종 2008.08.28 6527
2333 덩쿨/넝쿨, 쇠고기/소고기 바람의종 2008.08.28 8646
2332 일러두기 바람의종 2008.09.02 6420
2331 사이소예 바람의종 2008.09.02 6102
2330 뇌졸증/뇌졸중 바람의종 2008.09.02 8603
2329 쓰레기 분리 수거 바람의종 2008.09.02 7861
2328 숫구미 바람의종 2008.09.03 7842
2327 파랗다와 푸르다 윤영환 2008.09.03 8649
2326 외래어란? 바람의종 2008.09.03 6991
2325 바꼈다 바람의종 2008.09.03 7612
2324 통째/통채 바람의종 2008.09.03 11912
2323 거북 바람의종 2008.09.04 6758
2322 ‘-도록 하다’ 바람의종 2008.09.04 5296
2321 반지락, 아나고 바람의종 2008.09.04 8218
2320 총각김치 바람의종 2008.09.04 8626
2319 바람의종 2008.09.06 5462
2318 가외·유월이 바람의종 2008.09.06 7905
2317 첫째, 첫 번째 바람의종 2008.09.06 9133
2316 옥새와 옥쇄 바람의종 2008.09.06 8570
2315 껌과 고무 바람의종 2008.09.07 97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