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7.17 09:03

물사마귀

조회 수 11299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물사마귀

낱말이 다른 낱말과 어울릴 때 없던 소리가 덧나기도 하고, 있던 소리가 없어지기도 한다. 소리가 덧나는 현상을 ‘음운첨가’, 소리가 없어지는 현상을 ‘음운탈락’이라고 한다. 이때 표기는 그대로 두고 소리만 첨가 또는 탈락되기도 하고, 표기까지 바뀌기도 한다. ‘꽃잎’이 [꼰닙]으로 소리 나는 것이 음운첨가다. 이때 표기는 바뀌지 않는다. ‘활’과 ‘살’이 어울리면 ‘활살’이지만, [ㄹ]이 탈락하여 ‘화살’이 된다. 이때는 표기까지 바뀐다.

“물사마귀가 생겼을 때는 손톱으로 긁거나 칼로 째지 말아야 한다.” 중앙 일간지 기사에서 따온 구절이다. 대부분의 사전들은 ‘물사마귀’는 올려놓지 않고 ‘무사마귀’만 올려놓았지만, 표준국어대사전은 두 낱말을 동의어로 함께 올려놓았다.

한글맞춤법 제28항은 “끝소리가 ‘ㄹ’인 말과 딴말이 어울릴 적에 ‘ㄹ’ 소리가 나지 않는 것은 아니 나는 대로 적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은 [ㄹ] 소리가 나기도 하고, 나지 않기도 한다고 본 것으로 이해된다.

[ㄹ]은 우리말 자음 중에서 개구도(명료도)가 가장 큰 자음이다. 따라서 조사의 결합이나 어미활용에서도 예외를 보인다. 자음으로 끝난 낱말은 조사 ‘으로써’와 결합하지만 ‘ㄹ’로 끝난 낱말은 ‘로써’와 결합한다. 명사형어미도 ‘-음’이 아니라 ‘-ㅁ’과 결합한다. ‘불로써’(×불으로써), ‘삶’(×살음) 등이 예다. 복합어에서도 ‘ㄹ’은 ‘ㄴ, ㄷ, ㅅ, ㅈ’ 앞에서 탈락이 잦다. ‘따님, 미닫이, 부삽, 싸전’ 등은 ‘ㄹ’이 탈락한 복합어이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56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25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927
2336 국수 바람의종 2007.06.05 7497
2335 이랑과 고랑 바람의종 2008.02.05 7498
2334 염두하지 못했다 / 마침맞다 바람의종 2009.02.19 7499
2333 엘레지 바람의종 2009.06.17 7501
2332 인상착의, 금품수수 바람의종 2009.08.06 7503
2331 전운 바람의종 2009.06.12 7508
2330 한머사니 먹었수다! 바람의종 2009.09.18 7509
2329 너무 바람의종 2008.07.16 7509
2328 메다, 매다 바람의종 2008.10.14 7509
2327 ~의, ~와의 바람의종 2009.02.18 7509
2326 세상은 아직… 바람의종 2010.09.29 7513
2325 가까와? 가까워? 바람의종 2008.07.01 7514
2324 가을하다 바람의종 2007.12.28 7515
2323 방조하다 바람의종 2008.03.30 7516
2322 그러모으다, 긁어모으다 바람의종 2008.12.06 7516
2321 뱃속, 배 속 바람의종 2012.05.10 7516
2320 양반 바람의종 2007.08.01 7517
2319 복지리 바람의종 2010.02.12 7518
2318 자일, 아이젠 바람의종 2009.05.29 7519
2317 소라색 바람의종 2008.02.15 7524
2316 까지,조차,마저 바람의종 2010.01.19 7525
2315 칼럼리스트 바람의종 2010.03.05 75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