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7.17 09:03

물사마귀

조회 수 11303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물사마귀

낱말이 다른 낱말과 어울릴 때 없던 소리가 덧나기도 하고, 있던 소리가 없어지기도 한다. 소리가 덧나는 현상을 ‘음운첨가’, 소리가 없어지는 현상을 ‘음운탈락’이라고 한다. 이때 표기는 그대로 두고 소리만 첨가 또는 탈락되기도 하고, 표기까지 바뀌기도 한다. ‘꽃잎’이 [꼰닙]으로 소리 나는 것이 음운첨가다. 이때 표기는 바뀌지 않는다. ‘활’과 ‘살’이 어울리면 ‘활살’이지만, [ㄹ]이 탈락하여 ‘화살’이 된다. 이때는 표기까지 바뀐다.

“물사마귀가 생겼을 때는 손톱으로 긁거나 칼로 째지 말아야 한다.” 중앙 일간지 기사에서 따온 구절이다. 대부분의 사전들은 ‘물사마귀’는 올려놓지 않고 ‘무사마귀’만 올려놓았지만, 표준국어대사전은 두 낱말을 동의어로 함께 올려놓았다.

한글맞춤법 제28항은 “끝소리가 ‘ㄹ’인 말과 딴말이 어울릴 적에 ‘ㄹ’ 소리가 나지 않는 것은 아니 나는 대로 적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은 [ㄹ] 소리가 나기도 하고, 나지 않기도 한다고 본 것으로 이해된다.

[ㄹ]은 우리말 자음 중에서 개구도(명료도)가 가장 큰 자음이다. 따라서 조사의 결합이나 어미활용에서도 예외를 보인다. 자음으로 끝난 낱말은 조사 ‘으로써’와 결합하지만 ‘ㄹ’로 끝난 낱말은 ‘로써’와 결합한다. 명사형어미도 ‘-음’이 아니라 ‘-ㅁ’과 결합한다. ‘불로써’(×불으로써), ‘삶’(×살음) 등이 예다. 복합어에서도 ‘ㄹ’은 ‘ㄴ, ㄷ, ㅅ, ㅈ’ 앞에서 탈락이 잦다. ‘따님, 미닫이, 부삽, 싸전’ 등은 ‘ㄹ’이 탈락한 복합어이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21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80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532
2336 "있다, 없다"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7.13 12973
2335 날으는, 시들은, 찌들은, 녹슬은 바람의종 2009.07.10 8080
2334 어줍잖다, 어쭙잖다 / 어줍다 바람의종 2009.07.10 12481
2333 그녀 바람의종 2009.07.10 7386
2332 졸립다 / 졸리다 바람의종 2009.07.08 9591
2331 우리 민족, 우리나라 바람의종 2009.07.08 9038
2330 이제서야, 그제서야 바람의종 2009.07.08 9234
2329 내일 뵈요. 바람의종 2009.07.07 8953
2328 나의 살던 고향은 바람의종 2009.07.07 8911
2327 아지랑이, 아지랭이 바람의종 2009.07.07 10610
2326 설레이다, 설레다 바람의종 2009.07.06 8999
2325 잔불 바람의종 2009.07.06 7765
2324 선팅, 로터리 바람의종 2009.07.06 7145
2323 이따가, 있다가 바람의종 2009.06.30 7903
2322 휫바람, 휘바람, 휘파람 바람의종 2009.06.30 15863
2321 바라+겠 바람의종 2009.06.30 6389
2320 난이도, 난도 바람의종 2009.06.29 11993
2319 추켜세우다, 치켜세우다 바람의종 2009.06.29 10220
2318 가엾은/가여운, 서럽다/서러운, 여쭙다/여쭈다 바람의종 2009.06.29 11820
2317 발목이 접(겹)질려 바람의종 2009.06.17 9941
2316 안티커닝 바람의종 2009.06.17 8528
2315 소라색, 곤색 바람의종 2009.06.16 82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