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7.17 09:03

물사마귀

조회 수 11283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물사마귀

낱말이 다른 낱말과 어울릴 때 없던 소리가 덧나기도 하고, 있던 소리가 없어지기도 한다. 소리가 덧나는 현상을 ‘음운첨가’, 소리가 없어지는 현상을 ‘음운탈락’이라고 한다. 이때 표기는 그대로 두고 소리만 첨가 또는 탈락되기도 하고, 표기까지 바뀌기도 한다. ‘꽃잎’이 [꼰닙]으로 소리 나는 것이 음운첨가다. 이때 표기는 바뀌지 않는다. ‘활’과 ‘살’이 어울리면 ‘활살’이지만, [ㄹ]이 탈락하여 ‘화살’이 된다. 이때는 표기까지 바뀐다.

“물사마귀가 생겼을 때는 손톱으로 긁거나 칼로 째지 말아야 한다.” 중앙 일간지 기사에서 따온 구절이다. 대부분의 사전들은 ‘물사마귀’는 올려놓지 않고 ‘무사마귀’만 올려놓았지만, 표준국어대사전은 두 낱말을 동의어로 함께 올려놓았다.

한글맞춤법 제28항은 “끝소리가 ‘ㄹ’인 말과 딴말이 어울릴 적에 ‘ㄹ’ 소리가 나지 않는 것은 아니 나는 대로 적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은 [ㄹ] 소리가 나기도 하고, 나지 않기도 한다고 본 것으로 이해된다.

[ㄹ]은 우리말 자음 중에서 개구도(명료도)가 가장 큰 자음이다. 따라서 조사의 결합이나 어미활용에서도 예외를 보인다. 자음으로 끝난 낱말은 조사 ‘으로써’와 결합하지만 ‘ㄹ’로 끝난 낱말은 ‘로써’와 결합한다. 명사형어미도 ‘-음’이 아니라 ‘-ㅁ’과 결합한다. ‘불로써’(×불으로써), ‘삶’(×살음) 등이 예다. 복합어에서도 ‘ㄹ’은 ‘ㄴ, ㄷ, ㅅ, ㅈ’ 앞에서 탈락이 잦다. ‘따님, 미닫이, 부삽, 싸전’ 등은 ‘ㄹ’이 탈락한 복합어이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84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43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309
1148 쥐어 주다, 쥐여 주다 바람의종 2008.09.23 15911
1147 파이팅, 오바이트, 플레이, 커닝 바람의종 2008.09.23 8836
1146 어디 가여? 바람의종 2008.09.23 4893
1145 허접쓰레기/허섭스레기 바람의종 2008.09.20 9342
1144 갈께/갈까 바람의종 2008.09.20 6946
1143 양동작전 바람의종 2008.09.20 7828
1142 되겠습니다 바람의종 2008.09.20 4623
1141 으뜸, 버금, 맞먹다, 필적하다 바람의종 2008.09.19 17004
1140 냉면 사리 바람의종 2008.09.19 7874
1139 남사, 남새, 남살, 남우사스럽다 바람의종 2008.09.19 9743
1138 바람의종 2008.09.19 7455
1137 작렬, 작열 바람의종 2008.09.18 11741
1136 비치다, 비추다 바람의종 2008.09.18 11371
1135 '첫'과 '처음' 바람의종 2008.09.18 8820
1134 핫도그와 불독 바람의종 2008.09.18 9048
1133 봉숭아, 복숭아 바람의종 2008.09.18 8538
1132 주인공과 장본인 바람의종 2008.09.18 7551
1131 음반이요? 바람의종 2008.09.18 6316
1130 뒷간이 바람의종 2008.09.18 8017
1129 들이키다, 들이켜다 바람의종 2008.09.09 10329
1128 쇠발개발, 오리발, 마당발 바람의종 2008.09.09 8153
1127 참 좋지다 바람의종 2008.09.09 629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