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4571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로뜨다’와 ‘소행’

우리가 잘 쓰지 않는 북녘말에 ‘가로뜨다’라는 말이 있다. “의중을 떠보다”의 뜻이다. 북녘의 문학작품에서는 “프레스톤은 동감을 표시했다. 그러자 제독은 의아쩍은 눈길로 프레스톤을 흘끔 치떠보고는 외면해 버렸다. 특사의 수족이 되여 여직껏 그 짓을 해 오던 주제에 이제 와서 무슨 딴 수작이야 하고 가로떠보는 태도이다. 허지만 프레스톤 자신을 놓고 볼 때 국무장관이나 벨링컨 특사의 대조선 전략에 이견이 없는 것은 아니다.”(<성벽에 비낀 불길>, 박태민, 문예출판사, 1983년, 211쪽)와 같이 쓰인다.

‘소행’이라는 말은 남녘에서는 “소행이 괘씸하다”와 같이 부정적인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북녘에서는 긍정적인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더 많아 보인다. 이 말이 긍정적인 의미로 쓰인 예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들은 조국의 방선을 철벽으로 지켜가는 인민군 군인들을 위하는 일이라면 아까울 것이 없다고 하면서 문학용 기재들을 보내주는 등 원군 사업을 힘 있게 벌렸다. 인민군대를 위하는 아름다운 소행은 4월8일 수상사업소 일군들과 종업원들 속에서도 높이 발양되였다.”(2000년 10월25일, 어느 방송) 여기서 ‘벌리다’, ‘일군’은 남쪽 표현으로는 ‘벌이다’, ‘일꾼’이다.

전수태/전 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16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69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663
3304 할망구 바람의종 2007.04.24 11217
3303 할말과 못할말 바람의종 2008.01.05 7535
3302 할려고? 하려고? 바람의종 2010.07.25 14419
3301 할 일 없이 / 하릴없이 바람의종 2010.08.03 12896
3300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1.07 1424
3299 할 게, 할게 바람의종 2009.08.03 9707
3298 한풀 꺾이다 바람의종 2008.02.01 16004
3297 한통속 바람의종 2007.04.23 6480
3296 한테·더러 바람의종 2009.05.02 8864
3295 한터와 자갈치 바람의종 2008.03.12 9187
3294 한창과 한참 바람의종 2010.03.10 11525
3293 한참동안 바람의종 2007.04.23 9092
3292 한참, 한창 바람의종 2008.10.29 7931
3291 한잔, 한 잔 바람의종 2009.07.22 9224
3290 한자의 두음, 활음조 바람의종 2010.04.26 12218
3289 한자성어(1) 바람의종 2008.06.19 7537
3288 한자를 몰라도 風文 2022.01.09 1463
3287 한약 한 제 바람의종 2007.09.19 11026
3286 한식 요리 띄어쓰기 바람의종 2010.08.19 14113
3285 한소끔과 한 움큼 風文 2023.12.28 1314
3284 한성 바람의종 2007.09.18 11104
3283 한번과 한 번 1 바람의종 2010.08.14 1545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