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4752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로뜨다’와 ‘소행’

우리가 잘 쓰지 않는 북녘말에 ‘가로뜨다’라는 말이 있다. “의중을 떠보다”의 뜻이다. 북녘의 문학작품에서는 “프레스톤은 동감을 표시했다. 그러자 제독은 의아쩍은 눈길로 프레스톤을 흘끔 치떠보고는 외면해 버렸다. 특사의 수족이 되여 여직껏 그 짓을 해 오던 주제에 이제 와서 무슨 딴 수작이야 하고 가로떠보는 태도이다. 허지만 프레스톤 자신을 놓고 볼 때 국무장관이나 벨링컨 특사의 대조선 전략에 이견이 없는 것은 아니다.”(<성벽에 비낀 불길>, 박태민, 문예출판사, 1983년, 211쪽)와 같이 쓰인다.

‘소행’이라는 말은 남녘에서는 “소행이 괘씸하다”와 같이 부정적인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북녘에서는 긍정적인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더 많아 보인다. 이 말이 긍정적인 의미로 쓰인 예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들은 조국의 방선을 철벽으로 지켜가는 인민군 군인들을 위하는 일이라면 아까울 것이 없다고 하면서 문학용 기재들을 보내주는 등 원군 사업을 힘 있게 벌렸다. 인민군대를 위하는 아름다운 소행은 4월8일 수상사업소 일군들과 종업원들 속에서도 높이 발양되였다.”(2000년 10월25일, 어느 방송) 여기서 ‘벌리다’, ‘일군’은 남쪽 표현으로는 ‘벌이다’, ‘일꾼’이다.

전수태/전 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02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63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331
2336 ‘으’의 탈락 바람의종 2010.06.19 11171
2335 안갯속 바람의종 2010.06.19 8807
2334 ‘강시울’과 ‘뒤매’ 바람의종 2010.06.20 13477
2333 마스카라 바람의종 2010.06.20 13919
2332 -가량(假量) 바람의종 2010.06.20 10528
2331 도사리 바람의종 2010.06.20 8856
2330 내 자신 바람의종 2010.07.05 9617
2329 단감 바람의종 2010.07.05 10286
2328 여보 바람의종 2010.07.05 14109
2327 겁나게 꼬시구만! 바람의종 2010.07.09 11332
» ‘가로뜨다’와 ‘소행’ 바람의종 2010.07.09 14752
2325 동백꽃 바람의종 2010.07.09 9283
2324 피로연 바람의종 2010.07.09 13243
2323 베테랑 바람의종 2010.07.10 9667
2322 늙은이 바람의종 2010.07.10 9637
2321 독불장군 바람의종 2010.07.10 9675
2320 우화 바람의종 2010.07.12 9364
2319 쉼표 하나 바람의종 2010.07.12 8820
2318 주책 바람의종 2010.07.12 10609
2317 칠칠하다 바람의종 2010.07.12 10705
2316 피동문의 범람 바람의종 2010.07.13 9843
2315 물사마귀 바람의종 2010.07.17 1130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