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4667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로뜨다’와 ‘소행’

우리가 잘 쓰지 않는 북녘말에 ‘가로뜨다’라는 말이 있다. “의중을 떠보다”의 뜻이다. 북녘의 문학작품에서는 “프레스톤은 동감을 표시했다. 그러자 제독은 의아쩍은 눈길로 프레스톤을 흘끔 치떠보고는 외면해 버렸다. 특사의 수족이 되여 여직껏 그 짓을 해 오던 주제에 이제 와서 무슨 딴 수작이야 하고 가로떠보는 태도이다. 허지만 프레스톤 자신을 놓고 볼 때 국무장관이나 벨링컨 특사의 대조선 전략에 이견이 없는 것은 아니다.”(<성벽에 비낀 불길>, 박태민, 문예출판사, 1983년, 211쪽)와 같이 쓰인다.

‘소행’이라는 말은 남녘에서는 “소행이 괘씸하다”와 같이 부정적인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북녘에서는 긍정적인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더 많아 보인다. 이 말이 긍정적인 의미로 쓰인 예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들은 조국의 방선을 철벽으로 지켜가는 인민군 군인들을 위하는 일이라면 아까울 것이 없다고 하면서 문학용 기재들을 보내주는 등 원군 사업을 힘 있게 벌렸다. 인민군대를 위하는 아름다운 소행은 4월8일 수상사업소 일군들과 종업원들 속에서도 높이 발양되였다.”(2000년 10월25일, 어느 방송) 여기서 ‘벌리다’, ‘일군’은 남쪽 표현으로는 ‘벌이다’, ‘일꾼’이다.

전수태/전 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50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14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029
1126 젠 스타일 바람의종 2008.11.20 7495
1125 도락 바람의종 2007.06.26 7494
1124 엘레지 바람의종 2009.06.17 7491
1123 당신만, 해야만 / 3년 만, 이해할 만 바람의종 2009.07.24 7491
1122 그러모으다, 긁어모으다 바람의종 2008.12.06 7490
1121 안양 바람의종 2007.07.30 7489
1120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8.10.30 7488
1119 무더위, 불볕더위 바람의종 2012.05.18 7485
1118 염두하지 못했다 / 마침맞다 바람의종 2009.02.19 7482
1117 사설을 늘어놓다 바람의종 2008.01.15 7480
1116 쑥부쟁이 바람의종 2008.04.19 7477
1115 파랑새 바람의종 2009.06.16 7477
1114 미꾸라지 바람의종 2007.12.21 7474
1113 통틀어 바람의종 2007.03.30 7473
1112 양반 바람의종 2007.08.01 7471
1111 한글과 우리말 바람의종 2008.02.19 7466
1110 족두리꽃 바람의종 2008.03.19 7466
1109 국수 바람의종 2007.06.05 7464
1108 세리머니 바람의종 2008.10.07 7460
1107 깽깽이풀 바람의종 2008.03.06 7456
1106 바람의종 2008.09.19 7455
1105 말씀이 계시다 바람의종 2009.07.30 745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