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4641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로뜨다’와 ‘소행’

우리가 잘 쓰지 않는 북녘말에 ‘가로뜨다’라는 말이 있다. “의중을 떠보다”의 뜻이다. 북녘의 문학작품에서는 “프레스톤은 동감을 표시했다. 그러자 제독은 의아쩍은 눈길로 프레스톤을 흘끔 치떠보고는 외면해 버렸다. 특사의 수족이 되여 여직껏 그 짓을 해 오던 주제에 이제 와서 무슨 딴 수작이야 하고 가로떠보는 태도이다. 허지만 프레스톤 자신을 놓고 볼 때 국무장관이나 벨링컨 특사의 대조선 전략에 이견이 없는 것은 아니다.”(<성벽에 비낀 불길>, 박태민, 문예출판사, 1983년, 211쪽)와 같이 쓰인다.

‘소행’이라는 말은 남녘에서는 “소행이 괘씸하다”와 같이 부정적인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북녘에서는 긍정적인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더 많아 보인다. 이 말이 긍정적인 의미로 쓰인 예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들은 조국의 방선을 철벽으로 지켜가는 인민군 군인들을 위하는 일이라면 아까울 것이 없다고 하면서 문학용 기재들을 보내주는 등 원군 사업을 힘 있게 벌렸다. 인민군대를 위하는 아름다운 소행은 4월8일 수상사업소 일군들과 종업원들 속에서도 높이 발양되였다.”(2000년 10월25일, 어느 방송) 여기서 ‘벌리다’, ‘일군’은 남쪽 표현으로는 ‘벌이다’, ‘일꾼’이다.

전수태/전 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20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79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723
158 한목소리, 한 목소리, 한걸음, 한 걸음 바람의종 2010.06.01 13280
157 한뫼-노고산 바람의종 2008.01.30 10432
156 한번, 한 번 바람의종 2009.03.26 7721
155 한번, 한 번 / 파란색, 파란 색 바람의종 2010.11.21 12497
154 한번과 한 번 1 바람의종 2010.08.14 15570
153 한성 바람의종 2007.09.18 11201
152 한소끔과 한 움큼 風文 2023.12.28 1464
151 한식 요리 띄어쓰기 바람의종 2010.08.19 14176
150 한약 한 제 바람의종 2007.09.19 11123
149 한자를 몰라도 風文 2022.01.09 1584
148 한자성어(1) 바람의종 2008.06.19 7577
147 한자의 두음, 활음조 바람의종 2010.04.26 12261
146 한잔, 한 잔 바람의종 2009.07.22 9274
145 한참, 한창 바람의종 2008.10.29 7969
144 한참동안 바람의종 2007.04.23 9164
143 한창과 한참 바람의종 2010.03.10 11586
142 한터와 자갈치 바람의종 2008.03.12 9311
141 한테·더러 바람의종 2009.05.02 8895
140 한통속 바람의종 2007.04.23 6551
139 한풀 꺾이다 바람의종 2008.02.01 16056
138 할 게, 할게 바람의종 2009.08.03 9802
137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1.07 153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