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4650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로뜨다’와 ‘소행’

우리가 잘 쓰지 않는 북녘말에 ‘가로뜨다’라는 말이 있다. “의중을 떠보다”의 뜻이다. 북녘의 문학작품에서는 “프레스톤은 동감을 표시했다. 그러자 제독은 의아쩍은 눈길로 프레스톤을 흘끔 치떠보고는 외면해 버렸다. 특사의 수족이 되여 여직껏 그 짓을 해 오던 주제에 이제 와서 무슨 딴 수작이야 하고 가로떠보는 태도이다. 허지만 프레스톤 자신을 놓고 볼 때 국무장관이나 벨링컨 특사의 대조선 전략에 이견이 없는 것은 아니다.”(<성벽에 비낀 불길>, 박태민, 문예출판사, 1983년, 211쪽)와 같이 쓰인다.

‘소행’이라는 말은 남녘에서는 “소행이 괘씸하다”와 같이 부정적인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북녘에서는 긍정적인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더 많아 보인다. 이 말이 긍정적인 의미로 쓰인 예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들은 조국의 방선을 철벽으로 지켜가는 인민군 군인들을 위하는 일이라면 아까울 것이 없다고 하면서 문학용 기재들을 보내주는 등 원군 사업을 힘 있게 벌렸다. 인민군대를 위하는 아름다운 소행은 4월8일 수상사업소 일군들과 종업원들 속에서도 높이 발양되였다.”(2000년 10월25일, 어느 방송) 여기서 ‘벌리다’, ‘일군’은 남쪽 표현으로는 ‘벌이다’, ‘일꾼’이다.

전수태/전 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39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03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956
158 모리배 바람의종 2007.07.02 16577
157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3.25 16581
156 맞고요, 맞구요 風磬 2006.09.09 16588
155 가랭이 / 가랑이 바람의종 2010.08.05 16613
154 찧다 / 빻다 바람의종 2010.07.30 16617
153 시건 바람의종 2012.01.19 16631
152 못지않다, 못지 않다 / 마지않다, 마지 않다 바람의종 2009.03.25 16643
151 재다, 메우다, 메기다 바람의종 2010.04.25 16656
150 마가 끼다 바람의종 2008.01.05 16670
149 옷걸이 / 옷거리 / 옷맵시가 좋다 바람의종 2010.11.10 16710
148 이골이 나다 바람의종 2008.01.27 16729
147 알맞는, 알맞은 / 걸맞는, 걸맞은 바람의종 2012.09.11 16738
146 ~하는 듯 하다 / ~하는 듯하다 / ~하는듯하다 바람의종 2010.10.14 16762
145 받히다, 받치다, 밭치다 바람의종 2012.07.04 16839
144 놀라다 / 놀래다 바람의종 2010.07.26 16917
143 망둥어, 망둑어 / 간재미, 간자미 바람의종 2010.05.30 16927
142 나리 風磬 2006.10.10 16953
141 으뜸, 버금, 맞먹다, 필적하다 바람의종 2008.09.19 16982
140 성숙해지다, 주춤해지다, 팽배해지다, 만연해지다 바람의종 2010.11.26 16995
139 마다 않고, 아랑곳 않고 바람의종 2012.10.05 16998
138 좀체로, 의례적 바람의종 2008.12.15 17088
137 붙이다, 부치다 바람의종 2012.09.06 1710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