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6.20 15:28

마스카라

조회 수 13865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마스카라

우리가 사용하는 외래어 중에는 화장 용어가 꽤 많다. 그래서 탈북 여성들이 남한에 정착하면서 겪는 어려움 가운데 하나가 화장품 사는 일이라고 한다. 속눈썹에 칠하여 이를 길고 진하게 보이도록 강조하는 제품을 ‘마스카라’(mascara)라 이른다. 원래는 에스파냐말로서, 탈·가면·마스크를 뜻하며, 어원적으로 영어 ‘마스크’(mask)와 연결되어 있다.

‘마스카라’는 19세기에 외젠 리멜(Eugene Rimmel)이 발명해 포르투갈말, 터키말, 루마니아말에서는 아직도 ‘리멜’을 ‘마스카라’라는 뜻으로 쓴다고 한다. 그러나 마스카라가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1917년 ‘메이벨린’이라는 회사가 개발한 ‘메이벨린 케이크 마스카라’(Maybelline Cake Mascara)에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정작 에스파냐말 사용권에서는 이를 속눈썹 화장품이라는 뜻으로 쓰지 않는다.

마스카라는 목탄과 유지를 섞어 만들며 액체, 크림, 케이크 형태로 나뉘는데,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액체형 제품이다. 이 물건이 우리나라에 소개된 것은 아마도 일제강점기에 일본을 통해서였던 것으로 생각되는데, 그 발음은 철자를 읽어 만들어졌거나 일본말이 그대로 들어온 결과로 보인다. 이렇게 추정하는 이유는 ‘마스카라’가 ‘매스캐라’(미국식)나 ‘매스카라’(영국식)로 들어오지 않았고, 일본말의 ‘마스카라’(マスカラ)와 같은 꼴이기 때문이다.

김선철/문화체육관광부 학예연구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09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69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638
1126 등골이 빠진다 바람의종 2008.01.02 9728
1125 듬실과 버드실 바람의종 2008.01.25 7689
1124 들통나다 바람의종 2008.01.02 12521
1123 들추다, 들치다 바람의종 2009.11.24 10581
1122 들쳐업다 바람의종 2009.07.28 9664
1121 들이키다, 들이켜다 바람의종 2008.09.09 10294
1120 들여마시다 바람의종 2010.01.28 8492
1119 들어눕다 / 드러눕다, 들어내다 / 드러내다 바람의종 2012.08.16 20754
1118 들르다와 들리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3.02 11601
1117 들르다/들리다, 거스르다/거슬리다, 구스르다/구슬리다 바람의종 2008.05.24 12462
1116 드셔 보세요 바람의종 2008.03.13 7536
1115 드론 바람의종 2012.10.15 12280
1114 드라이브 스루 風文 2023.12.05 1448
1113 드라비다말 바람의종 2008.01.02 6975
1112 뒷자석, 뒤 자석, 뒷번호, 뒤 번호 바람의종 2009.11.08 11099
1111 뒷담화 보도, 교각살우 風文 2022.06.27 1184
1110 뒷담화 바람의종 2007.12.13 7176
1109 뒷담화 바람의종 2009.06.15 6965
1108 뒷담화 風文 2020.05.03 1095
1107 뒷간이 바람의종 2008.09.18 8008
1106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369
1105 뒤처지다, 뒤쳐지다 바람의종 2012.09.21 127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