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6.20 15:28

마스카라

조회 수 13813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마스카라

우리가 사용하는 외래어 중에는 화장 용어가 꽤 많다. 그래서 탈북 여성들이 남한에 정착하면서 겪는 어려움 가운데 하나가 화장품 사는 일이라고 한다. 속눈썹에 칠하여 이를 길고 진하게 보이도록 강조하는 제품을 ‘마스카라’(mascara)라 이른다. 원래는 에스파냐말로서, 탈·가면·마스크를 뜻하며, 어원적으로 영어 ‘마스크’(mask)와 연결되어 있다.

‘마스카라’는 19세기에 외젠 리멜(Eugene Rimmel)이 발명해 포르투갈말, 터키말, 루마니아말에서는 아직도 ‘리멜’을 ‘마스카라’라는 뜻으로 쓴다고 한다. 그러나 마스카라가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1917년 ‘메이벨린’이라는 회사가 개발한 ‘메이벨린 케이크 마스카라’(Maybelline Cake Mascara)에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정작 에스파냐말 사용권에서는 이를 속눈썹 화장품이라는 뜻으로 쓰지 않는다.

마스카라는 목탄과 유지를 섞어 만들며 액체, 크림, 케이크 형태로 나뉘는데,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액체형 제품이다. 이 물건이 우리나라에 소개된 것은 아마도 일제강점기에 일본을 통해서였던 것으로 생각되는데, 그 발음은 철자를 읽어 만들어졌거나 일본말이 그대로 들어온 결과로 보인다. 이렇게 추정하는 이유는 ‘마스카라’가 ‘매스캐라’(미국식)나 ‘매스카라’(영국식)로 들어오지 않았고, 일본말의 ‘마스카라’(マスカラ)와 같은 꼴이기 때문이다.

김선철/문화체육관광부 학예연구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61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05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017
1126 서울 風磬 2007.01.19 7418
1125 맨날, 만날 바람의종 2008.09.24 7418
1124 짝벗 사이 바람의종 2008.03.28 7416
1123 말할 자격 바람의종 2009.06.16 7416
1122 올인 바람의종 2008.04.29 7416
1121 덧글, 답글, 댓글 1 바람의종 2009.03.01 7416
1120 도락 바람의종 2007.06.26 7415
1119 알바 바람의종 2007.12.27 7414
1118 제비 바람의종 2009.05.29 7414
1117 안양 바람의종 2007.07.30 7413
1116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8.10.30 7413
1115 ‘오빠 부대’ 바람의종 2008.01.07 7409
1114 돌나물 바람의종 2008.06.02 7406
1113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402
1112 수표 바람의종 2008.03.24 7401
1111 신토불이 바람의종 2008.10.30 7399
1110 새말의 정착 바람의종 2007.12.16 7397
1109 궂긴인사 바람의종 2008.07.19 7393
1108 맞부닥치다 바람의종 2008.01.13 7391
1107 선글라스 바람의종 2008.10.10 7391
1106 경제 새말 바람의종 2008.01.04 7390
1105 가닥덕대 바람의종 2008.02.03 738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