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3395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강시울’과 ‘뒤매’

북녘에 ‘강시울’이라는 말이 있다. ‘강가’ 또는 ‘강변’의 뜻이다. ‘눈시울’, ‘입시울’(→입술)에서 보는 것처럼 ‘-시울’은 언저리를 나타낸다. 문학작품에서는 “춘권이 달려 나가 주낙줄 앞쪽을 잡았다. 그러나 고기가 하도 요동을 치는 바람에 줄을 잡은 채 강시울로 내려서려다가 그만 발을 헛디디어 줄을 놓쳐버렸다. 선생님이 물창에 뛰여드시였다.”(<성벽에 비낀 불길>, 박태민, 문예출판사, 1983년, 27쪽)와 같은 예가 있다. ‘물창’은 “물이 질퍽질퍽하게 고여 있는 것 또는 그러한 장소”이다.

‘뒷모습’ 또는 ‘뒷부분의 생김새’를 북녘에서는 ‘뒤매’라고 한다. 문학작품에서는 “어쩌면 태일이 그들처럼 밝고 양양한 행복을 안고 돌아올 것 같은 생각이 솔깃이 드는 것이였다. 그래서 해바라기처럼 웃는 얼굴로 멀어져가는 태일의 뒤매를 바래며 이윽토록 한 자리에 서 있었다. 용국은 성과총국을 통하여 새로 무은 뜨랄선 한 척을 먼저 받기로 아퀴를 지여 놓고 밤차로 늦게 돌아왔다.”(<해솟는 바다>, 손응준, 문예출판사, 1979년, 238쪽)와 같이 쓰인다. ‘뭇다’는 ‘만들다’의 뜻이며 ‘뜨랄선’은 ‘트롤선’(저인망 어선)이다.

전수태/전 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61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27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145
1126 뱃속, 배 속 바람의종 2012.05.10 7478
1125 그러모으다, 긁어모으다 바람의종 2008.12.06 7477
1124 염두하지 못했다 / 마침맞다 바람의종 2009.02.19 7472
1123 세상은 아직… 바람의종 2010.09.29 7471
1122 도락 바람의종 2007.06.26 7466
1121 무더위, 불볕더위 바람의종 2012.05.18 7466
1120 사설을 늘어놓다 바람의종 2008.01.15 7463
1119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8.10.30 7460
1118 쑥부쟁이 바람의종 2008.04.19 7458
1117 바람의종 2008.09.19 7452
1116 말씀이 계시다 바람의종 2009.07.30 7450
1115 도리장이·물자이 바람의종 2008.06.07 7440
1114 아수라장 바람의종 2007.12.15 7440
1113 바꾸다, 고치다 바람의종 2010.04.10 7440
1112 양반 바람의종 2007.08.01 7437
1111 세리머니 바람의종 2008.10.07 7437
1110 국수 바람의종 2007.06.05 7436
1109 칼미크말 바람의종 2007.11.06 7435
1108 파랑새 바람의종 2009.06.16 7434
1107 궂긴인사 바람의종 2008.07.19 7433
1106 돌나물 바람의종 2008.06.02 7433
1105 갑작사랑 바람의종 2008.05.05 74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