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592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빼또칼’과 ‘총대가정’

어렸을 때 연필을 깎기 위하여 칼집이 있는 칼을 주머니에 넣고 다니던 일이 생각난다. 북녘에서는 주머니칼을 ‘빼또칼’이라는 생소한 이름으로 부른다. 문학작품에서는 “외진 데를 찾아서 두 필의 말을 끌고 가는 봉길이는 밋밋하게 비탈진 산언저리에 이르러 맞춤한 새초밭을 찾아냈다. 마른 풀을 뜯어 먹게 말들을 놓아 준 봉길이는 호주머니에서 칼집이 달린 빼또칼을 꺼내들고 새초를 베기 시작하였다. 말먹이 새초를 새로 마련함으로써 자기가 결코 어린애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려는 배심이다.”(<백두산 기슭>,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78년, 9쪽)와 같은 예가 보인다. 이 경우 ‘맞춤한’은 ‘알맞은’의 뜻이고, ‘새초밭’은 ‘풀이 새로 난 풀밭’이라는 뜻이다.

북녘에는 ‘총대가정’이라는 가정이 있다. 이는 “가족 전체 또는 부자나 형제, 남매가 군에 입대하여 복무하는 등 일가족 모두가 총대를 메고 나선 가정”이다. 북녘 신문에는 “이제 머지않아 우리 집의 막내딸도 초소로 떠나게 된다. 그러면 우리 가정도 총대가정으로 된다. 총대가정, 이 영예롭고 성스러운 부름 앞에 언제나 떳떳하게 살고 싶은 것이 자식들을 초소에 내세운 우리 부모들의 심정이다.”(<로동신문> 2002년 3월1일치) 등으로 쓰인다.

전수태/전 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63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25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234
2402 시말서 바람의종 2007.10.20 7289
2401 안겨오다 바람의종 2008.04.06 7290
2400 메다와 지다 바람의종 2008.03.06 7292
2399 사라져가는 언어(2) 바람의종 2007.10.31 7293
2398 바람의종 2008.08.21 7298
2397 사리원과 원효 바람의종 2008.05.13 7302
2396 소양강·우수주 바람의종 2008.06.08 7305
2395 내 탓이오 바람의종 2008.04.03 7307
2394 구미와 곶 바람의종 2008.03.25 7308
2393 비지땀 風磬 2006.12.23 7310
2392 우산나물 바람의종 2008.07.02 7317
2391 둔지말 당두둑 바람의종 2008.07.10 7318
2390 발르세요? 바람의종 2008.03.14 7323
2389 뫼와 갓 바람의종 2008.01.02 7324
2388 이름 부르기 바람의종 2008.04.06 7324
2387 명사형 바람의종 2009.04.13 7324
2386 스킨십 바람의종 2009.08.04 7328
2385 바캉스 바람의종 2008.02.12 7329
2384 너구리 바람의종 2008.12.07 7331
2383 수구리 바람의종 2009.05.04 7336
2382 안절부절 못하다 바람의종 2008.01.22 7336
2381 대비, 대처 바람의종 2012.06.26 733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