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6.08 15:58

삘건색

조회 수 9487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삘건색

‘삘건색’은 ‘빨간색’이다. ‘삘겋다’는 표준어 ‘뻘겋다’에 대응하는 고장말로, 주로 전라도와 충남 지역에서 쓴다. “허기넌 요분참에 아랫것덜 대가리에 전보담 삘건 물이 더 진허게 들고, 맘보도 솔찬허니(상당히) 변혔을 것이요.”(<태백산맥> 조정래) ‘삘겋다’의 또다른 고장말은 ‘삘건허다’와 ‘삘허다’인데, 모두 전라도에서 쓰인다. “그눔이 예수쟁이라서 그렇제 속이야 수박 속맹키로(속처럼) 삘건헌 것이 염상진이 눔허고 하나또 달븐 디가 웂는 놈이랑께요.”(<태백산맥> 조정래) “마침 거그 꺼멍 소 한 마리허고 삘헌(붉은) 소 한 마리가 가만히 엎대어 누워 있어.”(<혼불> 최명희)

 전라도에서 ‘꺼멓다, 노랗다’ 등과 같이 빛깔을 나타내는 대부분의 어휘들은 ‘삘겋다’에서 볼 수 있듯이 ‘삘건허다, 삘허다’와 같이 단어의 꼴이 바뀌어 쓰인다. ‘파랗다’와 ‘노랗다’도 마찬가지다. ‘꺼멓다’는 ‘꺼먼허다, 껌허다’, ‘노랗다’는 ‘노란허다, 놀허다’와 같이 쓰이는데, ‘ㅎ’이 탈락하여 ‘꺼먼어다, 껌어다’와 같이 쓰이기도 한다. 또한 단어의 꼴이 바뀌면서 뜻도 조금씩 바뀌었다. ‘노란허다’는 ‘좀 노랗다’, ‘놀허다’는 ‘꽤 노랗다’ 정도의 뜻 차이를 갖게 된다. “놀허니 색이 참 곱기도 혀잉.”(<겨레말>) “참에(참외)가 노란허니 참말로 맛나게 익었구먼!”(<겨레말>)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98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62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552
1104 그녀 바람의종 2009.07.10 7346
1103 어줍잖다, 어쭙잖다 / 어줍다 바람의종 2009.07.10 12437
1102 날으는, 시들은, 찌들은, 녹슬은 바람의종 2009.07.10 8060
1101 "있다, 없다"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7.13 12659
1100 불닭 바람의종 2009.07.13 6261
1099 경품과 덤 바람의종 2009.07.13 5935
1098 옷이 튿어졌다 바람의종 2009.07.14 11428
1097 패였다, 채였다 바람의종 2009.07.14 9043
1096 따블 백 바람의종 2009.07.14 8063
1095 담배 이름 바람의종 2009.07.15 10242
1094 주어와 술어 바람의종 2009.07.15 10116
1093 대범한 도둑 바람의종 2009.07.16 6051
1092 '밖에'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7.16 11023
1091 민들레 홀씨 바람의종 2009.07.16 7119
1090 야마, 땡깡, 무데뽀 바람의종 2009.07.16 10057
1089 명사 + 하다, 형용사 + 하다 바람의종 2009.07.17 9202
1088 체신머리, 채신머리 바람의종 2009.07.18 14255
1087 햇볕, 햇빛, 햇살, 햇발 바람의종 2009.07.18 9668
1086 세 돈 금반지 바람의종 2009.07.18 8767
1085 내쳐, 내친 걸음에, 내친 김에 바람의종 2009.07.22 11136
1084 한잔, 한 잔 바람의종 2009.07.22 9293
1083 공멸 바람의종 2009.07.22 83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