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6.08 15:58

삘건색

조회 수 9492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삘건색

‘삘건색’은 ‘빨간색’이다. ‘삘겋다’는 표준어 ‘뻘겋다’에 대응하는 고장말로, 주로 전라도와 충남 지역에서 쓴다. “허기넌 요분참에 아랫것덜 대가리에 전보담 삘건 물이 더 진허게 들고, 맘보도 솔찬허니(상당히) 변혔을 것이요.”(<태백산맥> 조정래) ‘삘겋다’의 또다른 고장말은 ‘삘건허다’와 ‘삘허다’인데, 모두 전라도에서 쓰인다. “그눔이 예수쟁이라서 그렇제 속이야 수박 속맹키로(속처럼) 삘건헌 것이 염상진이 눔허고 하나또 달븐 디가 웂는 놈이랑께요.”(<태백산맥> 조정래) “마침 거그 꺼멍 소 한 마리허고 삘헌(붉은) 소 한 마리가 가만히 엎대어 누워 있어.”(<혼불> 최명희)

 전라도에서 ‘꺼멓다, 노랗다’ 등과 같이 빛깔을 나타내는 대부분의 어휘들은 ‘삘겋다’에서 볼 수 있듯이 ‘삘건허다, 삘허다’와 같이 단어의 꼴이 바뀌어 쓰인다. ‘파랗다’와 ‘노랗다’도 마찬가지다. ‘꺼멓다’는 ‘꺼먼허다, 껌허다’, ‘노랗다’는 ‘노란허다, 놀허다’와 같이 쓰이는데, ‘ㅎ’이 탈락하여 ‘꺼먼어다, 껌어다’와 같이 쓰이기도 한다. 또한 단어의 꼴이 바뀌면서 뜻도 조금씩 바뀌었다. ‘노란허다’는 ‘좀 노랗다’, ‘놀허다’는 ‘꽤 노랗다’ 정도의 뜻 차이를 갖게 된다. “놀허니 색이 참 곱기도 혀잉.”(<겨레말>) “참에(참외)가 노란허니 참말로 맛나게 익었구먼!”(<겨레말>)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94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56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468
2072 -화하다, -화되다 바람의종 2009.08.07 9573
2071 노숙인과 노숙자 바람의종 2009.11.10 9570
2070 지붕 바람의종 2010.05.31 9568
2069 별나다와 뿔나다의 ‘나다’ 바람의종 2011.05.01 9568
2068 낱말장 바람의종 2012.06.22 9568
2067 ~답다, ~스럽다 바람의종 2010.11.21 9568
2066 깡소주 바람의종 2008.07.04 9567
2065 졸립다 / 졸리다 바람의종 2009.07.08 9556
2064 새라새롭다 바람의종 2008.02.29 9555
2063 일터 말 바람의종 2008.04.08 9555
2062 구비구비, 메꾸다 바람의종 2008.11.24 9551
2061 강냉이 바람의종 2008.06.15 9544
2060 흘리대·흘리덕이 바람의종 2008.07.21 9542
2059 종교 바람의종 2009.09.22 9539
2058 주격조사 바람의종 2010.07.21 9539
2057 뫼시어라 바람의종 2010.10.04 9539
2056 디카, 필카, 셀카 바람의종 2010.02.22 9533
2055 디기 해깝지라! 바람의종 2010.04.25 9533
2054 수컷을 나타내는 접두사 ‘수-’ 바람의종 2010.05.30 9533
2053 막역/막연, 모사/묘사 바람의종 2008.06.13 9526
2052 집중호우 -> 장대비 바람의종 2012.06.22 9525
2051 알맹이, 알갱이 바람의종 2010.04.27 95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