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0788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달 건너 소식’과 ‘마세’

매스미디어가 오늘날처럼 발달하지 않은 옛날에는 풍문으로 들려오는 소식을 통해 세상이 돌아가는 것을 아는 경우가 많았다. 이때 풍문으로 들려오는 소식을 북녘에서는 ‘달 건너 소식’이라고 한다. 정확한 사전적인 의미는 “멀리서 들려오는 소식”이다. 그런데 멀리서 오는 소식이 왜 달 건너 오는 소식인지 궁금하기는 필자도 마찬가지다. 문학작품에서는 “강 건너 장군님의 부대가 압록강 연안을 휩쓸고 돌아가면 왜놈들을 삼대 버이듯 한다는 소리를 달 건너 소식으로 듣고 기뻐서 눈물을 흘린 적도 여러 번 있었소만 이렇게 장군님의 군사를 눈앞에 대하리라고야 어찌 생각이나 했겠소. 내가 바로 김명순이오.”(<그리운 조국산천>, 박유학, 문예출판사, 1985년, 318쪽)와 같이 쓰인다.

북녘에는 우리가 잘 쓰지 않는 말로서 ‘마세’라는 말이 있다. ‘말썽’이라는 뜻이다. 문학작품에서는 “《그래서 레방비장이 선사포로 부랴부랴 내려간 건가?》 《그렇다더군. 그런데 그처럼 마세를 일으켜 놓고도 그 물건짝들을 돌려달라구 떼질을 쓰는 통에 소동이 벌어졌다지 않겠나.》 《아니. 그런 뻔뻔스러운 놈들을 그냥 놓아둬? 남의 나라 법을 어기고 흥정하려 들다니?!》”(<성벽에 비낀 불길>, 박태민, 문예출판사, 1983년, 158쪽) 등과 같이 쓰인다.

전수태/전 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94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51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506
2402 사이다 바람의종 2010.06.16 11645
2401 고슬고슬, 가슬가슬 / 찰지다, 차지다 바람의종 2010.06.08 11062
2400 놈팽이 바람의종 2010.06.08 13783
2399 강술 바람의종 2010.06.08 9587
2398 의존명사 ‘채’ 바람의종 2010.06.08 11161
2397 ‘빼또칼’과 ‘총대가정’ 바람의종 2010.06.08 12597
2396 삘건색 바람의종 2010.06.08 9464
2395 한목소리, 한 목소리, 한걸음, 한 걸음 바람의종 2010.06.01 13269
2394 모자르다, 모자라다, 모잘라, 모자른, 모잘른 바람의종 2010.06.01 25295
2393 ‘-land’ 가 붙는 지명 표기 바람의종 2010.06.01 12003
2392 한(限) 바람의종 2010.06.01 11970
2391 낱말의 호응 바람의종 2010.06.01 11781
2390 주년, 돌, 회 바람의종 2010.05.31 10781
2389 단추를 꿰다, 끼우다, 채우다 바람의종 2010.05.31 27628
2388 지붕 바람의종 2010.05.31 9543
2387 해설피 바람의종 2010.05.31 14820
2386 포클레인, 굴삭기 / 굴착기, 삽차 바람의종 2010.05.31 16492
» ‘달 건너 소식’과 ‘마세’ 바람의종 2010.05.31 10788
2384 망둥어, 망둑어 / 간재미, 간자미 바람의종 2010.05.30 16921
2383 끄적, 끼적, 깔짝, 깨작 바람의종 2010.05.30 12353
2382 숙맥 바람의종 2010.05.30 9355
2381 재미 바람의종 2010.05.30 865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