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5.28 04:30

‘대틀’과 ‘손세’

조회 수 13805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대틀’과 ‘손세’

우리는 이따금 우리의 민속 씨름이나 일본의 전통 씨름인 스모 경기를 즐기게 된다. 여기에 참가하는 운동선수들은 모두 몸집이 크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런 경우에 우리가 잘 쓰지 않는 북녘말에 ‘대틀’이라는 말이 있다. 이는 “몸집이 큰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그러니 우리의 백두장사급 씨름 선수나 일본 스모 선수의 몸집에 꼭 어울리는 말이다. “《꼭 내가 그려준 길을 따라가야 합니다.》 중열에게 호송길로 가는 길을 그려준 지질탐사단 단장은 한꺼번에 국수를 세 그릇이나 먹는 대틀의 사나이였다. 구리로 부은 듯 얼굴이며 목이며 손잔등까지 거무스름한 그는 청년 시절부터 오늘까지 25년간이나 이 일대에서….”(<먼 길>, 정창윤, 문예출판사, 1983년, 321쪽)와 같은 용례가 보인다.

우리는 의사를 전달하는 데서 음성으로 전하는 말 못지않게 눈짓이나 손짓으로도 마음을 전한다. 이때 손짓에 대하여 북녘에서는 ‘손세’라는 말을 흔히 쓴다. “《아무쪼록 잘 부탁합니다.》 박종학은 손이 떨려나는 것을 감추기 위하여 손세까지 써 가며 류창하게 인사말을 엮어나갔다. 리철범과 최성택은 대뜸 동지라고 부르며 나서는 이 뻔뻔스러운 놈을 어떻게 대해야 할지….”(<고난의 행군>,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76년, 53쪽)와 같이 쓰인다.

전수태/전 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09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57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488
2380 수컷을 나타내는 접두사 ‘수-’ 바람의종 2010.05.30 9538
2379 나차운 디! file 바람의종 2010.05.30 8645
2378 안녕하세요 바람의종 2010.05.30 10104
2377 글러브, 글로브 바람의종 2010.05.29 12500
2376 소강상태에 빠지다 바람의종 2010.05.29 10212
2375 나들목 바람의종 2010.05.29 8937
2374 호두까기 인형 바람의종 2010.05.29 11520
2373 웨하스 바람의종 2010.05.29 10846
2372 궂은날, 궂은 날 바람의종 2010.05.28 11378
2371 ~에게, ~와 바람의종 2010.05.28 8182
2370 숟가락 바람의종 2010.05.28 11961
2369 총각 바람의종 2010.05.28 9797
» ‘대틀’과 ‘손세’ 바람의종 2010.05.28 13805
2367 궁거운 생각! 바람의종 2010.05.28 9144
2366 부기와 붓기 바람의종 2010.05.18 11369
2365 나들목, 분기점 바람의종 2010.05.18 10763
2364 단골 바람의종 2010.05.18 7377
2363 누리꾼,누리집,누리망 바람의종 2010.05.18 12443
2362 굴레와 멍에 바람의종 2010.05.18 11527
2361 수훈감 바람의종 2010.05.17 8280
2360 여위다, 여의다 바람의종 2010.05.17 12085
2359 ‘ㄱ’과 ‘ㅂ’ 뒤의 된소리 바람의종 2010.05.17 126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