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5.28 04:30

‘대틀’과 ‘손세’

조회 수 13854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대틀’과 ‘손세’

우리는 이따금 우리의 민속 씨름이나 일본의 전통 씨름인 스모 경기를 즐기게 된다. 여기에 참가하는 운동선수들은 모두 몸집이 크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런 경우에 우리가 잘 쓰지 않는 북녘말에 ‘대틀’이라는 말이 있다. 이는 “몸집이 큰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그러니 우리의 백두장사급 씨름 선수나 일본 스모 선수의 몸집에 꼭 어울리는 말이다. “《꼭 내가 그려준 길을 따라가야 합니다.》 중열에게 호송길로 가는 길을 그려준 지질탐사단 단장은 한꺼번에 국수를 세 그릇이나 먹는 대틀의 사나이였다. 구리로 부은 듯 얼굴이며 목이며 손잔등까지 거무스름한 그는 청년 시절부터 오늘까지 25년간이나 이 일대에서….”(<먼 길>, 정창윤, 문예출판사, 1983년, 321쪽)와 같은 용례가 보인다.

우리는 의사를 전달하는 데서 음성으로 전하는 말 못지않게 눈짓이나 손짓으로도 마음을 전한다. 이때 손짓에 대하여 북녘에서는 ‘손세’라는 말을 흔히 쓴다. “《아무쪼록 잘 부탁합니다.》 박종학은 손이 떨려나는 것을 감추기 위하여 손세까지 써 가며 류창하게 인사말을 엮어나갔다. 리철범과 최성택은 대뜸 동지라고 부르며 나서는 이 뻔뻔스러운 놈을 어떻게 대해야 할지….”(<고난의 행군>,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76년, 53쪽)와 같이 쓰인다.

전수태/전 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35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91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799
1082 신토불이 바람의종 2008.10.30 7440
1081 무진장 바람의종 2007.07.04 7439
1080 라이방에 봉고 바람의종 2008.09.30 7438
1079 선글라스 바람의종 2008.10.10 7438
1078 말할 자격 바람의종 2009.06.16 7437
1077 제비 바람의종 2009.05.29 7435
1076 언어 대국, 인도 바람의종 2007.12.24 7433
1075 올인 바람의종 2008.04.29 7433
1074 사라져가는 언어(2) 바람의종 2007.10.31 7432
1073 구미와 곶 바람의종 2008.03.25 7427
1072 각시취 바람의종 2008.04.29 7417
1071 인사말 바람의종 2008.04.17 7410
1070 어물전 바람의종 2007.08.02 7404
1069 천편일률 바람의종 2007.12.22 7403
1068 검식, 감식 바람의종 2010.03.03 7401
1067 안갚음 / 앙갚음 바람의종 2008.06.03 7399
1066 군말 바람의종 2008.05.13 7398
1065 오고셍이 돌려줬수왕! file 바람의종 2010.01.11 7398
1064 시라손이 바람의종 2009.07.17 7397
1063 설거지나 하세요. (게와 께) 바람의종 2008.04.20 7396
1062 아비규환 바람의종 2007.12.14 7395
1061 메다와 지다 바람의종 2008.03.06 739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