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5.28 04:30

‘대틀’과 ‘손세’

조회 수 13687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대틀’과 ‘손세’

우리는 이따금 우리의 민속 씨름이나 일본의 전통 씨름인 스모 경기를 즐기게 된다. 여기에 참가하는 운동선수들은 모두 몸집이 크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런 경우에 우리가 잘 쓰지 않는 북녘말에 ‘대틀’이라는 말이 있다. 이는 “몸집이 큰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그러니 우리의 백두장사급 씨름 선수나 일본 스모 선수의 몸집에 꼭 어울리는 말이다. “《꼭 내가 그려준 길을 따라가야 합니다.》 중열에게 호송길로 가는 길을 그려준 지질탐사단 단장은 한꺼번에 국수를 세 그릇이나 먹는 대틀의 사나이였다. 구리로 부은 듯 얼굴이며 목이며 손잔등까지 거무스름한 그는 청년 시절부터 오늘까지 25년간이나 이 일대에서….”(<먼 길>, 정창윤, 문예출판사, 1983년, 321쪽)와 같은 용례가 보인다.

우리는 의사를 전달하는 데서 음성으로 전하는 말 못지않게 눈짓이나 손짓으로도 마음을 전한다. 이때 손짓에 대하여 북녘에서는 ‘손세’라는 말을 흔히 쓴다. “《아무쪼록 잘 부탁합니다.》 박종학은 손이 떨려나는 것을 감추기 위하여 손세까지 써 가며 류창하게 인사말을 엮어나갔다. 리철범과 최성택은 대뜸 동지라고 부르며 나서는 이 뻔뻔스러운 놈을 어떻게 대해야 할지….”(<고난의 행군>,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76년, 53쪽)와 같이 쓰인다.

전수태/전 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43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87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819
1082 수컷을 나타내는 접두사 ‘수-’ 바람의종 2010.05.30 9516
1081 나차운 디! file 바람의종 2010.05.30 8629
1080 안녕하세요 바람의종 2010.05.30 10092
1079 나들목 바람의종 2010.05.29 8905
1078 호두까기 인형 바람의종 2010.05.29 11419
1077 웨하스 바람의종 2010.05.29 10835
1076 숟가락 바람의종 2010.05.28 11916
1075 총각 바람의종 2010.05.28 9725
» ‘대틀’과 ‘손세’ 바람의종 2010.05.28 13687
1073 궁거운 생각! 바람의종 2010.05.28 9116
1072 단골 바람의종 2010.05.18 7352
1071 누리꾼,누리집,누리망 바람의종 2010.05.18 12435
1070 굴레와 멍에 바람의종 2010.05.18 11504
1069 ‘ㄱ’과 ‘ㅂ’ 뒤의 된소리 바람의종 2010.05.17 12597
1068 아양 바람의종 2010.05.17 11577
1067 바지선 바람의종 2010.05.17 11346
1066 ‘물멀기’와 ‘싸다’ 바람의종 2010.05.17 12888
1065 부분과 부문 바람의종 2010.05.13 11352
1064 안 되다와 안되다 바람의종 2010.05.13 11614
1063 늑장 바람의종 2010.05.13 9061
1062 넋두리 바람의종 2010.05.12 10199
1061 경위 바람의종 2010.05.12 1085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