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5.28 04:29

궁거운 생각!

조회 수 9128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궁거운 생각!

‘궁거운 생각’은 무슨 생각일까? 미루어 짐작한 것처럼 ‘궁금한 생각’이다. ‘궁겁다’는 표준어 ‘궁금하다’에 대응하는 말로, 남녘과 북녘뿐만 아니라 재중동포 사회에서도 두루 쓰인다. 그래서 <표준국어대사전>에는 ‘궁금하다’의 잘못으로 풀이되어 있으며, 북녘의 <조선말대사전>에는 버젓이 문화어로 올라 있다. ‘궁겁다’는 ‘궁금하다’에서 ‘ㅎ’이 탈락한 ‘궁금어다’의 활용형 ‘궁금어서~궁그어서’를 언중들이 마치 ‘고맙다’의 활용형 ‘고마워서~고마어서’와 같은 것으로 생각하고 그 원래의 형태를 ‘궁겁다’로 인식하면서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 “조모는 손부가 숙성해 가는 꼴을 볼수록 은근히 그들의 사이가 궁거웠다.”(<봄> 이기영) “궁겁기는 어째 궁겁다구 이럼둥?”(<조각달 둥근달> 리태수, 재중동포 작가) “창해가 궁거운 소리로 물었다.”(<여름바다> 신종봉, 북녘 작가) ‘궁겁다’는 지역에 따라 ‘궁급다’로 사용되기도 한다. “니가 가고 하도 오래 핀지(편지)가 없으이 애비는 하리하리(하루하루)가 궁급다.”(<경북 동남부 방언사전> 정석호)

‘궁금하다’의 또다른 고장말로는 ‘궁기허다’와 ‘궁구허다’를 들 수 있는데, 이는 주로 전라도 지역에서 쓰이는 말이다. “어찌 궁기허든지 즈그 엄니헌테 가서 물어봤어.”(<전남방언사전>) “궁구허닝께 구다봤을(들여다봤을) 거 아닌갭여.”(<겨레말>)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95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52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498
1962 바통 바람의종 2009.10.02 8918
1961 바투 바람의종 2010.11.10 14107
1960 박물관은 살아있다 바람의종 2012.11.30 18524
1959 박물관은 살아있다 2 바람의종 2012.12.10 23864
1958 박빙, 살얼음 바람의종 2010.01.11 10933
1957 박사 바람의종 2007.07.07 7877
1956 박살내다 바람의종 2007.05.09 10244
1955 박스오피스 바람의종 2010.02.08 8567
1954 박쥐 바람의종 2009.10.28 9793
1953 박차를 가하다 바람의종 2008.01.10 13002
1952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333
1951 반딧불이 바람의종 2008.09.07 5682
1950 반어법 바람의종 2010.02.23 9029
1949 반죽이 좋다 바람의종 2010.11.03 12061
1948 반죽이 좋다 바람의종 2008.01.10 9249
1947 반증, 방증 바람의종 2008.09.30 10003
1946 반지락, 아나고 바람의종 2008.09.04 8186
1945 반풍수 집안 망친다 바람의종 2008.01.11 11106
1944 받아쓰기 없기 風文 2022.02.10 2360
1943 받치다, 받히다 바람의종 2011.12.28 10321
1942 받히다, 받치다, 밭치다 바람의종 2012.07.04 16820
1941 발강이 바람의종 2009.08.01 770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