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5.18 16:12

굴레와 멍에

조회 수 11534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굴레와 멍에

<워낭소리>라는 영화가 화제가 된 적이 있다. 사전은 ‘워낭’을 ‘마소의 귀에서 턱밑으로 늘여 단 방울, 또는 마소의 턱 아래에 늘어뜨린 쇠고리’로 설명하고 있다. 요즘 우리나라에서 ‘한우’라고 하면 모두 최고급 쇠고기로 인식한다. 그러나 한우는 전통적으로 육우가 아니라 역우(役牛)였다. 쟁기로 논밭을 갈고 무논에 써레질을 하는 일이 모두 소의 몫이었고, 수레를 끄는 일도 소나 말이 맡았다.

“민주화 운동에는 도움됐지만 민주화 이후엔 굴레와 멍에” 신문 기사의 부제다. 소에게는 ‘굴레’니 ‘멍에’니 하는 장신구(?)들을 많이 채웠다. 힘센 소를 쉽게 부리기 위해서 제일 먼저 코뚜레를 뀄다. 소의 두 콧구멍 사이를 뚫은 나뭇가지를 동그랗게 묶은 것이 코뚜레다. 여기에 고삐를 맨다. 고삐를 잡아당기면 아무리 힘센 소라도 당기는 대로 따를 수밖에 없다. 소의 머리와 목을 감아 고삐에 걸쳐놓은 것이 굴레다. 소에게 일을 시키기 위해서 ㄱ자 형으로 생긴 나무를 소의 목에 걸어 수레나 쟁기에 밧줄로 이은 것이 멍에다. 이 모든 것이 소에게는 형벌일 수밖에 없었지만 사람들은 그렇게 소의 힘을 빌려 농사를 짓고 짐을 날랐다.

요즘에 와서는 이런 말들이 구속, 속박의 의미로 쓰인다. 하긴 16세기의 인물인 서익이 벼슬을 그만둔 것을 “녹초청강상에 굴레 벗은 말이 되어”라고 표현한 걸 보면 그 시대에도 이미 이런 뜻으로 쓰였음을 알 수 있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40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88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853
1082 무진장 바람의종 2007.07.04 7435
1081 올인 바람의종 2008.04.29 7433
1080 선글라스 바람의종 2008.10.10 7431
1079 언어 대국, 인도 바람의종 2007.12.24 7428
1078 이름 부르기 바람의종 2008.04.06 7428
1077 라이방에 봉고 바람의종 2008.09.30 7428
1076 가을하다 바람의종 2007.12.28 7421
1075 뫼와 갓 바람의종 2008.01.02 7421
1074 사라져가는 언어(2) 바람의종 2007.10.31 7415
1073 구미와 곶 바람의종 2008.03.25 7410
1072 천편일률 바람의종 2007.12.22 7403
1071 안갚음 / 앙갚음 바람의종 2008.06.03 7398
1070 군말 바람의종 2008.05.13 7397
1069 시라손이 바람의종 2009.07.17 7397
1068 설거지나 하세요. (게와 께) 바람의종 2008.04.20 7396
1067 어물전 바람의종 2007.08.02 7395
1066 아비규환 바람의종 2007.12.14 7395
1065 각시취 바람의종 2008.04.29 7392
1064 검식, 감식 바람의종 2010.03.03 7392
1063 오고셍이 돌려줬수왕! file 바람의종 2010.01.11 7391
1062 단골 바람의종 2010.05.18 7387
1061 인사말 바람의종 2008.04.17 738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