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5.18 16:12

굴레와 멍에

조회 수 11507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굴레와 멍에

<워낭소리>라는 영화가 화제가 된 적이 있다. 사전은 ‘워낭’을 ‘마소의 귀에서 턱밑으로 늘여 단 방울, 또는 마소의 턱 아래에 늘어뜨린 쇠고리’로 설명하고 있다. 요즘 우리나라에서 ‘한우’라고 하면 모두 최고급 쇠고기로 인식한다. 그러나 한우는 전통적으로 육우가 아니라 역우(役牛)였다. 쟁기로 논밭을 갈고 무논에 써레질을 하는 일이 모두 소의 몫이었고, 수레를 끄는 일도 소나 말이 맡았다.

“민주화 운동에는 도움됐지만 민주화 이후엔 굴레와 멍에” 신문 기사의 부제다. 소에게는 ‘굴레’니 ‘멍에’니 하는 장신구(?)들을 많이 채웠다. 힘센 소를 쉽게 부리기 위해서 제일 먼저 코뚜레를 뀄다. 소의 두 콧구멍 사이를 뚫은 나뭇가지를 동그랗게 묶은 것이 코뚜레다. 여기에 고삐를 맨다. 고삐를 잡아당기면 아무리 힘센 소라도 당기는 대로 따를 수밖에 없다. 소의 머리와 목을 감아 고삐에 걸쳐놓은 것이 굴레다. 소에게 일을 시키기 위해서 ㄱ자 형으로 생긴 나무를 소의 목에 걸어 수레나 쟁기에 밧줄로 이은 것이 멍에다. 이 모든 것이 소에게는 형벌일 수밖에 없었지만 사람들은 그렇게 소의 힘을 빌려 농사를 짓고 짐을 날랐다.

요즘에 와서는 이런 말들이 구속, 속박의 의미로 쓰인다. 하긴 16세기의 인물인 서익이 벼슬을 그만둔 것을 “녹초청강상에 굴레 벗은 말이 되어”라고 표현한 걸 보면 그 시대에도 이미 이런 뜻으로 쓰였음을 알 수 있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19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73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632
1082 아니어라우! 바람의종 2008.08.04 6643
1081 "가지다"를 버리자 2 바람의종 2008.08.03 9981
1080 이력서 바람의종 2008.08.03 5340
1079 바람의종 2008.08.03 6677
1078 "가지다"를 버리자 바람의종 2008.07.31 9824
1077 부처꽃 바람의종 2008.07.31 5901
1076 쟈근아기 바람의종 2008.07.31 6986
1075 무데뽀, 나시, 기라성 바람의종 2008.07.29 6884
1074 참 이뿌죠잉! 바람의종 2008.07.29 6167
1073 사룀글투 바람의종 2008.07.29 6504
1072 곤혹스런 바람의종 2008.07.28 5227
1071 바람의종 2008.07.28 6314
1070 쥐오줌풀 바람의종 2008.07.28 8357
1069 김치 속 / 김치 소 바람의종 2008.07.26 8168
1068 딜위·그믐딘이 바람의종 2008.07.26 7005
1067 닭알 바람의종 2008.07.26 7252
1066 햇빛, 햇볕 바람의종 2008.07.24 8540
1065 사룀 바람의종 2008.07.24 7245
1064 모량리와 모량부리 바람의종 2008.07.24 6712
1063 숟가락, 젓가락 바람의종 2008.07.21 8375
1062 개망초 바람의종 2008.07.21 5207
1061 흘리대·흘리덕이 바람의종 2008.07.21 934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