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997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물멀기’와 ‘싸다’

남녘의 어느 바닷가에서 혹시 쓰고 있는지 모르지만 우리가 잘 모르는 말에 ‘물멀기’라는 말이 있다. 이는 북녘에서 자주 쓰는 말로 ‘큰 물결’이라는 뜻이다. 북녘의 문학작품에서는 “화약에 누기가 차서 불이 달리지 않았던 것이다. 하는 수 없이 총을 놓고 물가로 되돌아가 높아지는 물멀기를 근심스런 눈길로 바라보며 정호가 돌아오기를 기다렸다. 그러나 어찌된 영문인지 정호는 돌아오지 않고 있었다.”(<김정호>, 강학태, 문예출판사, 1987년, 270쪽)와 같이 쓰이는 말이다.

북녘말에서는 ‘-답다’ 대신에 ‘-싸다’를 써서 예를 들면 ‘남자싸다’ 같은 말을 만들기도 한다. 문학작품에서는 “한번은 떡을 치다가 터쳐 버린 그의 작업복 겨드랑이를 자기가 말없이 기워 준 일이 있었는데 총각은 남모르는 따뜻한 마음을 이쪽에 안겨 주고 가버린 듯했다. 알고 보니 유호림은 남자싸게 건장한데다 일솜씨는 물론 성미까지도 산매처럼 걸패스러워 나무랄 데가 없는 사나이였다.”(<그들의 운명>, 현희균, 문예출판사, 1984년, 4쪽)와 같이 쓰이고 있다. 이때 ‘걸패스럽다’의 경우 북녘 사전에 ‘걸패’만 보이는데 ‘걸싸고 기운찬 패거리’로 풀이되어 있다. ‘걸싸다’는 ‘성미가 몹시 괄괄하고 세차다’는 뜻이다.

전수태/전 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54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17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052
2380 금낭화 바람의종 2008.07.18 6258
2379 바라다 / 바래다 바람의종 2008.07.18 9172
2378 잔돌배기 바람의종 2008.07.19 6847
2377 궂긴인사 바람의종 2008.07.19 7436
2376 흘리대·흘리덕이 바람의종 2008.07.21 9573
2375 개망초 바람의종 2008.07.21 5261
2374 숟가락, 젓가락 바람의종 2008.07.21 8417
2373 모량리와 모량부리 바람의종 2008.07.24 6742
2372 사룀 바람의종 2008.07.24 7332
2371 햇빛, 햇볕 바람의종 2008.07.24 8607
2370 닭알 바람의종 2008.07.26 7268
2369 딜위·그믐딘이 바람의종 2008.07.26 7063
2368 김치 속 / 김치 소 바람의종 2008.07.26 8199
2367 쥐오줌풀 바람의종 2008.07.28 8401
2366 바람의종 2008.07.28 6351
2365 곤혹스런 바람의종 2008.07.28 5257
2364 사룀글투 바람의종 2008.07.29 6534
2363 참 이뿌죠잉! 바람의종 2008.07.29 6218
2362 무데뽀, 나시, 기라성 바람의종 2008.07.29 6901
2361 쟈근아기 바람의종 2008.07.31 7037
2360 부처꽃 바람의종 2008.07.31 5928
2359 "가지다"를 버리자 바람의종 2008.07.31 1004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