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3042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물멀기’와 ‘싸다’

남녘의 어느 바닷가에서 혹시 쓰고 있는지 모르지만 우리가 잘 모르는 말에 ‘물멀기’라는 말이 있다. 이는 북녘에서 자주 쓰는 말로 ‘큰 물결’이라는 뜻이다. 북녘의 문학작품에서는 “화약에 누기가 차서 불이 달리지 않았던 것이다. 하는 수 없이 총을 놓고 물가로 되돌아가 높아지는 물멀기를 근심스런 눈길로 바라보며 정호가 돌아오기를 기다렸다. 그러나 어찌된 영문인지 정호는 돌아오지 않고 있었다.”(<김정호>, 강학태, 문예출판사, 1987년, 270쪽)와 같이 쓰이는 말이다.

북녘말에서는 ‘-답다’ 대신에 ‘-싸다’를 써서 예를 들면 ‘남자싸다’ 같은 말을 만들기도 한다. 문학작품에서는 “한번은 떡을 치다가 터쳐 버린 그의 작업복 겨드랑이를 자기가 말없이 기워 준 일이 있었는데 총각은 남모르는 따뜻한 마음을 이쪽에 안겨 주고 가버린 듯했다. 알고 보니 유호림은 남자싸게 건장한데다 일솜씨는 물론 성미까지도 산매처럼 걸패스러워 나무랄 데가 없는 사나이였다.”(<그들의 운명>, 현희균, 문예출판사, 1984년, 4쪽)와 같이 쓰이고 있다. 이때 ‘걸패스럽다’의 경우 북녘 사전에 ‘걸패’만 보이는데 ‘걸싸고 기운찬 패거리’로 풀이되어 있다. ‘걸싸다’는 ‘성미가 몹시 괄괄하고 세차다’는 뜻이다.

전수태/전 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52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12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011
2380 엄치미 좋아! 바람의종 2009.09.26 7388
2379 단골 바람의종 2010.05.18 7391
2378 난친이 바위 바람의종 2008.02.24 7392
2377 안겨오다 바람의종 2008.04.06 7393
2376 아비규환 바람의종 2007.12.14 7395
2375 설거지나 하세요. (게와 께) 바람의종 2008.04.20 7396
2374 메다와 지다 바람의종 2008.03.06 7397
2373 시라손이 바람의종 2009.07.17 7397
2372 군말 바람의종 2008.05.13 7398
2371 오고셍이 돌려줬수왕! file 바람의종 2010.01.11 7398
2370 안갚음 / 앙갚음 바람의종 2008.06.03 7399
2369 어물전 바람의종 2007.08.02 7404
2368 천편일률 바람의종 2007.12.22 7406
2367 검식, 감식 바람의종 2010.03.03 7406
2366 인사말 바람의종 2008.04.17 7410
2365 각시취 바람의종 2008.04.29 7417
2364 구미와 곶 바람의종 2008.03.25 7427
2363 올인 바람의종 2008.04.29 7433
2362 제비 바람의종 2009.05.29 7435
2361 사라져가는 언어(2) 바람의종 2007.10.31 7437
2360 언어 대국, 인도 바람의종 2007.12.24 7437
2359 말할 자격 바람의종 2009.06.16 743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