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3045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물멀기’와 ‘싸다’

남녘의 어느 바닷가에서 혹시 쓰고 있는지 모르지만 우리가 잘 모르는 말에 ‘물멀기’라는 말이 있다. 이는 북녘에서 자주 쓰는 말로 ‘큰 물결’이라는 뜻이다. 북녘의 문학작품에서는 “화약에 누기가 차서 불이 달리지 않았던 것이다. 하는 수 없이 총을 놓고 물가로 되돌아가 높아지는 물멀기를 근심스런 눈길로 바라보며 정호가 돌아오기를 기다렸다. 그러나 어찌된 영문인지 정호는 돌아오지 않고 있었다.”(<김정호>, 강학태, 문예출판사, 1987년, 270쪽)와 같이 쓰이는 말이다.

북녘말에서는 ‘-답다’ 대신에 ‘-싸다’를 써서 예를 들면 ‘남자싸다’ 같은 말을 만들기도 한다. 문학작품에서는 “한번은 떡을 치다가 터쳐 버린 그의 작업복 겨드랑이를 자기가 말없이 기워 준 일이 있었는데 총각은 남모르는 따뜻한 마음을 이쪽에 안겨 주고 가버린 듯했다. 알고 보니 유호림은 남자싸게 건장한데다 일솜씨는 물론 성미까지도 산매처럼 걸패스러워 나무랄 데가 없는 사나이였다.”(<그들의 운명>, 현희균, 문예출판사, 1984년, 4쪽)와 같이 쓰이고 있다. 이때 ‘걸패스럽다’의 경우 북녘 사전에 ‘걸패’만 보이는데 ‘걸싸고 기운찬 패거리’로 풀이되어 있다. ‘걸싸다’는 ‘성미가 몹시 괄괄하고 세차다’는 뜻이다.

전수태/전 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55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15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029
2380 어깨 넘어, 어깨너머 바람의종 2009.08.01 14544
2379 지리하다 바람의종 2009.07.31 9482
2378 방불하다 바람의종 2009.07.31 10200
2377 예쁜 걸, 예쁜걸 바람의종 2009.07.31 9961
2376 말씀이 계시다 바람의종 2009.07.30 7464
2375 사체, 시체 바람의종 2009.07.29 9109
2374 호우, 집중호우 / 큰비, 장대비 바람의종 2009.07.29 8506
2373 잇단, 잇달아 바람의종 2009.07.29 6979
2372 맨발, 맨 밑바닥 바람의종 2009.07.28 8721
2371 들쳐업다 바람의종 2009.07.28 9681
2370 굳은 살이 - 박혔다, 박였다, 배겼다 바람의종 2009.07.28 8915
2369 조우, 해우, 만남 바람의종 2009.07.27 12811
2368 단근질, 담금질 바람의종 2009.07.27 11447
2367 '간(間)'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7.27 12105
2366 설겆이, 설거지 / 애닯다, 애달프다 바람의종 2009.07.26 10223
2365 봉우리, 봉오리 바람의종 2009.07.26 10781
2364 아파트이름 바람의종 2009.07.26 8293
2363 "~주다"는 동사 뒤에만 온다 바람의종 2009.07.25 12683
2362 너뿐이야, 네가 있을 뿐 바람의종 2009.07.25 7913
2361 겸연쩍다, 멋쩍다, 맥쩍다 바람의종 2009.07.25 14511
2360 유월과 오뉴월 바람의종 2009.07.24 7193
2359 검불과 덤불 바람의종 2009.07.24 774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