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892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물멀기’와 ‘싸다’

남녘의 어느 바닷가에서 혹시 쓰고 있는지 모르지만 우리가 잘 모르는 말에 ‘물멀기’라는 말이 있다. 이는 북녘에서 자주 쓰는 말로 ‘큰 물결’이라는 뜻이다. 북녘의 문학작품에서는 “화약에 누기가 차서 불이 달리지 않았던 것이다. 하는 수 없이 총을 놓고 물가로 되돌아가 높아지는 물멀기를 근심스런 눈길로 바라보며 정호가 돌아오기를 기다렸다. 그러나 어찌된 영문인지 정호는 돌아오지 않고 있었다.”(<김정호>, 강학태, 문예출판사, 1987년, 270쪽)와 같이 쓰이는 말이다.

북녘말에서는 ‘-답다’ 대신에 ‘-싸다’를 써서 예를 들면 ‘남자싸다’ 같은 말을 만들기도 한다. 문학작품에서는 “한번은 떡을 치다가 터쳐 버린 그의 작업복 겨드랑이를 자기가 말없이 기워 준 일이 있었는데 총각은 남모르는 따뜻한 마음을 이쪽에 안겨 주고 가버린 듯했다. 알고 보니 유호림은 남자싸게 건장한데다 일솜씨는 물론 성미까지도 산매처럼 걸패스러워 나무랄 데가 없는 사나이였다.”(<그들의 운명>, 현희균, 문예출판사, 1984년, 4쪽)와 같이 쓰이고 있다. 이때 ‘걸패스럽다’의 경우 북녘 사전에 ‘걸패’만 보이는데 ‘걸싸고 기운찬 패거리’로 풀이되어 있다. ‘걸싸다’는 ‘성미가 몹시 괄괄하고 세차다’는 뜻이다.

전수태/전 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16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70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612
1082 차돌배기 바람의종 2009.07.23 8636
1081 주최, 주관, 후원 바람의종 2009.07.23 7825
1080 으시시, 부시시 바람의종 2009.07.23 7941
1079 당신만, 해야만 / 3년 만, 이해할 만 바람의종 2009.07.24 7463
1078 검불과 덤불 바람의종 2009.07.24 7700
1077 유월과 오뉴월 바람의종 2009.07.24 7164
1076 겸연쩍다, 멋쩍다, 맥쩍다 바람의종 2009.07.25 14405
1075 너뿐이야, 네가 있을 뿐 바람의종 2009.07.25 7889
1074 "~주다"는 동사 뒤에만 온다 바람의종 2009.07.25 12351
1073 아파트이름 바람의종 2009.07.26 8249
1072 봉우리, 봉오리 바람의종 2009.07.26 10764
1071 설겆이, 설거지 / 애닯다, 애달프다 바람의종 2009.07.26 10195
1070 '간(間)'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7.27 11965
1069 단근질, 담금질 바람의종 2009.07.27 11418
1068 조우, 해우, 만남 바람의종 2009.07.27 12764
1067 굳은 살이 - 박혔다, 박였다, 배겼다 바람의종 2009.07.28 8865
1066 들쳐업다 바람의종 2009.07.28 9652
1065 맨발, 맨 밑바닥 바람의종 2009.07.28 8688
1064 잇단, 잇달아 바람의종 2009.07.29 6955
1063 호우, 집중호우 / 큰비, 장대비 바람의종 2009.07.29 8352
1062 사체, 시체 바람의종 2009.07.29 9046
1061 말씀이 계시다 바람의종 2009.07.30 743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