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5.13 16:26

늑장

조회 수 9086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늑장

세상에 변하지 않는 것이 없듯이 말도 변화를 거듭한다. <용비어천가>나 <두시언해> 등의 고전을 읽어보면 몇백 년 전의 우리말을 알아들을 수 없음을 알게 된다. 단어의 기원과 유래를 연구하는 언어학 분야를 어원론이라고 한다.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말 ‘기와’(瓦)는 15세기에는 ‘디새’였다. ‘디새’가 ‘기와’로까지 변화해온 과정을 추적해 보면 복잡하기 짝이 없다.

“MB정부 ‘정규직 전환’ 늑장…법개정 눈치보다 해고 칼날” 신문기사 제목이다.

여기서 ‘늑장’은 일견 특이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쉽게 연상되는 단어는 ‘늦다’인데, ‘늑’이라는 형태가 어떻게 생겨났을까. 아마도 쉽게 연상되는 ‘늦다’에서 답을 구하려니 자꾸 미로로 빠져드는 듯하다. 대부분의 사전은 ‘늦장’과 ‘늑장’을 동의어 또는 유의어로 설명하고 있지만, 어떤 사전은 ‘늑장’은 ‘늦장’이 변한 말이라고 했다가 개정판에서는 지웠고, 또 다른 사전은 ‘늑장’만 인정하고 ‘늦장’은 틀린 말 또는 방언으로 설명하기도 한다.

‘늑장’의 어원을 ‘느긋하다’에서 찾아보면 어떨까. 표준국어대사전은 ‘늑하다’를 ‘느긋하다’의 준말로 올려놓았다. ‘늑하다’와 연결해 보면 일단 ‘늑’의 정체는 잡힌다. 당장 할 일이 있는데, 시간도 그리 넉넉지 않은데 짐짓 여유를 부리면서 느긋한 척하는 데서 온 말이 아닐까.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97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57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486
1918 미이라, 링겔 바람의종 2008.12.12 9198
1917 한참동안 바람의종 2007.04.23 9195
1916 푸르름 바람의종 2011.11.10 9195
1915 가이없는 은혜 바람의종 2012.08.17 9183
1914 낸들, 나 자신, 내 자신 바람의종 2009.05.04 9175
1913 원인, 이유 바람의종 2009.11.29 9173
1912 바라다 / 바래다 바람의종 2008.07.18 9165
1911 '자처'와 '자청' 바람의종 2011.05.01 9162
1910 보어 바람의종 2010.02.21 9161
1909 기린아 바람의종 2007.06.07 9159
1908 정종 바람의종 2007.10.24 9159
1907 싸다와 누다 바람의종 2009.10.01 9157
1906 얼음보숭이·에스키모 바람의종 2008.03.14 9156
1905 호태왕비 바람의종 2008.02.17 9153
1904 바람의종 2007.09.22 9150
1903 파리지옥풀 바람의종 2008.03.15 9147
1902 무녀리 바람의종 2007.07.04 9144
1901 돋힌 바람의종 2008.12.18 9143
1900 눈부처 바람의종 2010.08.19 9141
1899 궁거운 생각! 바람의종 2010.05.28 9136
1898 백성 바람의종 2007.07.09 9136
1897 체언의 쓰임새 바람의종 2010.01.09 91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