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5.12 11:12

‘가녁’과 ‘쏘다’

조회 수 13737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녁’과 ‘쏘다’

우리가 좀처럼 들어 보기 어려운 말 가운데에는 ‘가녁’이라는 북녘의 말이 있다. “일정한 공간의 중심을 벗어난 변두리나 한쪽 모퉁이”를 가리킨다. 문학 작품에서는 “장군님께서 바위에 걸터앉으시자 회의 참석자들도 하나둘 자리를 잡기 시작하였다. 최진동과 한영권을 비롯한 유격대 지휘관들은 지하 혁명조직 책임자들을 될수록 장군님 가까이에 앉히려고 마음을 쓰면서 자신들은 가녁에 자리를 잡았다.”(<근거지의 봄>,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81년, 214쪽)와 같은 예가 보인다.

북녘에서는 ‘쏘다’라는 말을 우리와는 좀 다른 의미로도 쓴다. “무엇이 쑤시고 찌르는 것처럼 아프다”로 쓰는 경우가 그것이다. 문학 작품에서 용례를 찾는다면 “어머님께서는 오늘 사하촌에 가셨다가 흐지부지되여 가는 부녀회원들의 야학을 바로세울 대책을 의논하실래기 반나절을 보내시고 돌아오시다가 다리가 너무 쏘아서 길가의 버드나무 그늘에 앉으시였다. 누렇게 익어가는 강냉이 밭이 바람도 없는데 우수수 설레였다.”(<대지는 푸르다>,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81년, 291쪽)와 같은 것이 있다.

‘의논하실래기’는 ‘의논하시려고’의 뜻이고, ‘설레다’의 경우는 우리는 ‘설레다’만 표준어로 인정하지만 북녘은 ‘설레다’와 ‘설레이다’를 다 문화어로 인정하고 있다.

전수태/전 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69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27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170
3128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1.07 1589
3127 언어적 자해 風文 2022.02.06 1592
3126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592
3125 지명의 의의 風文 2021.11.15 1596
3124 형용모순, 언어의 퇴보 風文 2022.07.14 1596
3123 지도자의 화법 風文 2022.01.15 1597
3122 아이 위시 아파트 風文 2023.05.28 1597
3121 국가의 목소리 風文 2023.02.06 1598
3120 후텁지근한 風文 2023.11.15 1600
3119 기림비 2 / 오른쪽 風文 2020.06.02 1601
3118 '넓다'와 '밟다' 風文 2023.12.06 1601
3117 내 청춘에게? 風文 2024.02.17 1602
3116 위탁모, 땅거미 風文 2020.05.07 1607
3115 맞춤법을 없애자, 맞춤법을 없애자 2 風文 2022.09.09 1607
3114 인기척, 허하다 風文 2022.08.17 1608
3113 표준말의 기강, 의미와 신뢰 風文 2022.06.30 1612
3112 단골 風文 2023.05.22 1613
3111 참고와 참조 風文 2023.07.09 1613
3110 온나인? 올라인? 風文 2024.03.26 1620
3109 비는 오는 게 맞나, 현타 風文 2022.08.02 1621
3108 존맛 風文 2023.06.28 1621
3107 질척거리다, 마약 김밥 風文 2022.12.01 16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