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5.11 11:58

겁나게 퉁겁지라!

조회 수 11602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겁나게 퉁겁지라!

‘겁나게 퉁겁지라’는 ‘굉장히 굵지요’라는 뜻이다. ‘퉁겁다’는 표준어 ‘굵다’와 ‘두껍다’에 대응하는 고장말로, 주로 전라도 지역에서 쓰인다. ‘퉁겁다’는 쓰이는 상황에 따라 ‘굵다’의 뜻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두껍다’의 뜻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퉁겁고 빳빳한 실을 핑핑 소리나게 잡아당기며….”(<토지> 박경리) “송판을 퉁건 걸 대야 책상이 짱짱허지.”(<겨레말>) 고장말 ‘퉁겁다’는 [퉁+겁+다]와 같이 분석할 수 있다. 여기에서 ‘퉁’은 ‘툭하다’나 ‘툭툭하다’ 등의 ‘툭’과 무관하지 않으며, ‘툭’은 ‘두껍다’의 옛말인 ‘둗겁다’의 ‘둗-’과 ‘두텁다([둩+업+다])’의 ‘둩-’에서 그 말뿌리를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사실은 ‘굵다’의 경상도 고장말 ‘툭하다’나 전라도 고장말 ‘툭시다/툭지다’ 등에서 더욱 분명해진다. 따라서 전라도 고장말이나 경상도 고장말에서 ‘툭-’ 또는 ‘퉁-’은 ‘부피가 크거나 두께가 크다’는 뜻을 더하는 말뿌리임을 알 수 있다.

‘툭하다’는 경상도 고장말이기도 하지만 북녘에서는 ‘가늘지 않고 굵다’는 뜻을 갖는 문화어이기도 하다. “소년들은 저희들이 오히려 왁자 재촉하며 달홍이의 툭한 손목을 잡아서는 채에 갖다 꾹 붙여 놓는 것이였다.”(<바위에 새겨진 발자국> 류근순 북녘 작가)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02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76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434
1082 돌나물 바람의종 2008.06.02 7458
1081 무진장 바람의종 2007.07.04 7450
1080 맨날, 만날 바람의종 2008.09.24 7450
1079 신토불이 바람의종 2008.10.30 7448
1078 바꾸다, 고치다 바람의종 2010.04.10 7447
1077 도리장이·물자이 바람의종 2008.06.07 7445
1076 인사말 바람의종 2008.04.17 7444
1075 라이방에 봉고 바람의종 2008.09.30 7442
1074 선글라스 바람의종 2008.10.10 7438
1073 말할 자격 바람의종 2009.06.16 7437
1072 제비 바람의종 2009.05.29 7435
1071 올인 바람의종 2008.04.29 7433
1070 ‘강한 바람’만인가? 바람의종 2007.10.27 7428
1069 어물전 바람의종 2007.08.02 7418
1068 천편일률 바람의종 2007.12.22 7417
1067 쇠뜨기 바람의종 2008.01.15 7416
1066 메다와 지다 바람의종 2008.03.06 7409
1065 난친이 바위 바람의종 2008.02.24 7407
1064 안겨오다 바람의종 2008.04.06 7407
1063 검식, 감식 바람의종 2010.03.03 7407
1062 오고셍이 돌려줬수왕! file 바람의종 2010.01.11 7403
1061 안갚음 / 앙갚음 바람의종 2008.06.03 740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