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5.10 10:15

정육점과 푸줏간

조회 수 11110 추천 수 2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정육점과 푸줏간

정육점(精肉店)과 푸줏간은 소고기와 돼지고기 따위를 파는 곳이다. 여기서 정육은 지방이나 뼈 따위를 발라낸 살코기를 말한다. 푸주는 한자어 ‘포주(廚)’에서 왔다.‘포()’는 소나 돼지 등을 잡는 곳,‘주(廚)’는 잡은 고기를 요리하는 곳이라는 뜻이었다. 지금은 고기를 사기 위해 대부분 정육점을 가지만 예전엔 푸줏간을 찾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63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14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037
2842 젬병 바람의종 2007.03.24 10751
2841 젠 스타일 바람의종 2008.11.20 7511
2840 제트(Z) 바람의종 2009.09.07 7249
2839 제작, 제조, 조제 바람의종 2010.07.05 14380
2838 제우 요것뿐이오! 바람의종 2010.01.20 11984
2837 제왕절개 바람의종 2007.12.20 11484
2836 제수용품 / 꼬지, 꽂이, 꼬치 바람의종 2010.02.12 11400
2835 제비초리 바람의종 2007.03.23 14210
2834 제비 바람의종 2009.05.29 7433
2833 제맛 바람의종 2008.01.05 7961
2832 제6공화국 바람의종 2007.08.18 9826
2831 정치인의 애칭 風文 2022.02.08 1543
2830 정치인들의 말 風文 2021.10.08 934
2829 정치의 유목화 風文 2022.01.29 1629
2828 정치와 은유(2, 3) 風文 2022.10.13 1547
2827 정종 바람의종 2007.10.24 9172
2826 정정당당 바람의종 2007.12.20 8739
» 정육점과 푸줏간 바람의종 2010.05.10 11110
2824 정오(正誤) 바람의종 2010.03.13 11179
2823 정서적 의미 바람의종 2007.10.25 9924
2822 정상 정복, 등정 바람의종 2009.02.21 6420
2821 정보와 담론, 덕담 風文 2022.06.15 146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