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3281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때식을 번지다’와 ‘재구를 치다’

우리는 바쁜 일이 있을 때 밥 먹을 시간이 없어 건너뛰는 경우가 있다. 이때 북녘에서는 ‘때식을 번지다’라는 말을 한다. 우리 식으로 말하면 ‘때식’은 ‘끼니’의 뜻이고 ‘번지다’는 ‘거르다’의 뜻이다. “한상욱은 비로소 자기에게 혁명가의 넋이 생겨나고 혁명가의 의지가 생겨나고 있음을 의식하였다. 한상욱은 전혀 경황없는 가운데서 며칠 동안 때식조차 번지며 뛰여다녔다.”(<그리운 조국산천>, 박유학, 문예출판사, 1985년, 497쪽)와 같은 예가 보인다. ‘번지다’는 액체가 퍼져 나간다는 뜻으로는 남북이 공통으로 쓰고 있으나, 북녘에서는 남녘에서 쓰지 않는 의미로서 ‘종잇장을 넘기다’ 등의 뜻이 더 있다.

남녘에서 잘 쓰지 않는 말로서 북녘에는 ‘재구를 치다’라는 말이 있다. 이는 “잘못을 저지르거나 탈을 내다”의 의미이다. 이에 대하여는 “김성주 동지께서는 걸음을 멈추시고 이윽히 박경학의 얼굴을 들여다보시였다. 그는 주관적으로는 무엇인가 잘해 보자고 애쓰고 열성도 있는데 무엇 때문에 자꾸만 재구를 치는가. 그러고 볼 때 혁명적 열성이나 의도 같은 것이 실천에서는 옳고 그른 평가의 기준으로 될 수 없다는 것이 명백하지 않은가.”(<대지는 푸르다>,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81년, 589쪽)와 같은 용례가 있다.

전수태/전 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19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75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738
1060 동남아 언어 바람의종 2008.02.29 7472
1059 동기간 바람의종 2007.06.28 7660
1058 돕다와 거들다 바람의종 2008.02.11 6503
1057 돔 / 식해 風文 2020.06.23 1790
1056 돌팔이 風磬 2006.11.16 7972
1055 돌쇠 바람의종 2008.10.25 5941
1054 돌서덕 바람의종 2008.02.05 9506
1053 돌림말 바람의종 2009.09.26 7754
1052 돌림꾼 바람의종 2009.09.29 7726
1051 돌나물 바람의종 2008.06.02 7406
1050 돋힌 바람의종 2008.12.18 9105
1049 돋우다와 돋구다 바람의종 2010.03.22 13722
1048 돈자리·행표 바람의종 2008.06.04 6735
1047 돈놀이 바람의종 2009.03.01 7071
1046 돈까스 바람의종 2008.02.05 8830
1045 돈가스와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10.31 7888
1044 돈 깨나 있냐? / 돈은 커녕 바람의종 2010.03.18 10584
1043 風磬 2006.11.06 6793
1042 독촉, 독려 바람의종 2010.10.11 11410
1041 독수리 바람의종 2009.11.08 11013
1040 독불장군, 만인의 ‘씨’ 風文 2022.11.10 1397
1039 독불장군 바람의종 2010.07.10 964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