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5.06 14:07

식혜와 식해

조회 수 9837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식혜와 식해

찹쌀을 쪄서 엿기름물을 부어 삭힌 다음 밥알을 냉수에 헹궈 건져 놓는다. 엿기름물에 생강과 설탕을 넣고 끓여 식힌 뒤 밥알을 띄운다. 이렇게 만든 것이 식혜다. 식해는 생선과 소금·조밥·고춧가루·마늘·파·무 등을 넣고 버무려 숙성시킨 음식이다. 생선젓 혹은 생선이 주재료가 되므로 어해라고도 한다. 가자미식해, 도루묵식해, 명태식해 등이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54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20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094
2072 목적 바람의종 2007.07.03 6959
2071 몬뜰래기 벗곡! 바람의종 2010.04.02 11753
2070 몰래 요동치는 말 風文 2023.11.22 1202
2069 몰래 입국, 몰래 출국 바람의종 2010.04.19 12276
2068 몰로이 바람의종 2009.06.30 9309
2067 몸 달은 바람의종 2012.08.21 7082
2066 몸알리 바람의종 2010.01.14 7899
2065 몸으로 재다, 윙크와 무시 風文 2022.11.09 1351
2064 못미처, 못미쳐, 못 미처, 못 미쳐 바람의종 2010.10.18 22105
2063 못쓸 짓 바람의종 2010.03.14 9693
2062 못지않다, 못지 않다 / 마지않다, 마지 않다 바람의종 2009.03.25 16646
2061 못하다 바람의종 2010.03.18 10791
2060 몽골말과 몽골어파 바람의종 2007.11.10 9700
2059 뫼시어라 바람의종 2010.10.04 9539
2058 뫼와 갓 바람의종 2008.01.02 7340
2057 묫자리 / 묏자리 바람의종 2012.08.20 12380
2056 무거리 바람의종 2009.02.21 6606
2055 무궁화 바람의종 2008.03.30 5938
2054 무꾸리 風磬 2006.11.26 8112
2053 무너미·목넘이 바람의종 2008.04.03 6801
2052 무녀리 바람의종 2010.04.18 11117
2051 무녀리 바람의종 2007.07.04 91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