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300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통장을 부르다’와 ‘시끄럽다’

어떤 어려운 일을 성취한 경우 우리는 이를 널리 알리고 싶어 한다. 이때 북녘에서 쓰는 말 가운데 ‘통장을 부르다’라는 생소한 말이 있다. 북녘의 사전에서는 이 말을 “그 누구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 성과를 이룩하고 그것을 보란 듯이 큰소리로 공포하는 것”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놀라운 일이로다. 마지막 싸움이 될 이번 울돌목 해전은 벌써 통장을 부른 셈이나 다름없도다. 백성들이 이처럼 돕고 있으니 싸움하기 전에 이미 승패는 정해졌노라.”(<리순신 장군>, 김현구, 문예출판사, 1990년, 506쪽)와 같은 예가 있다.

‘시끄럽다’는 말은 북녘에서 “성가시도록 말썽이나 가탈이 많다”의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소리 개념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예를 들면 “가만 내버려두면 아낙네는 종일이라도 이야기를 계속할 수 있을 것 같았다. 해 가늠을 해 보니 10리나마 되는 명주촌에 들렸다가 돌재로 돌아가자면 날이 저물어 두만강 나루를 건너기 시끄러울 것 같았다. 오석하는 적당한 기회에 아낙네와 작별하고 걸음을 다우쳐 단숨에 명주촌에 들이댔다.”(<대지는 푸르다>,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81년, 287쪽)와 같이 쓰인다. 이때 ‘들렸다가’와 ‘다우쳐’는 남녘 표현으로는 ‘들렀다가’와 ‘다그쳐’가 된다.

전수태/전 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44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09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861
2908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537
2907 구구히, 구구이 바람의종 2012.01.07 8779
2906 구년묵이(구닥다리) 風磬 2006.10.10 15308
2905 구랍 바람의종 2008.11.13 6779
2904 구랍 바람의종 2010.11.05 11168
2903 구렛나루, 구레나루, 구렌나루 / 횡경막 / 관자노리 바람의종 2008.11.03 8492
2902 구리무와 포마드 바람의종 2010.03.24 11866
2901 구메구메 바람의종 2010.11.26 10781
2900 구명과 규명 바람의종 2010.10.13 11044
2899 구미와 곶 바람의종 2008.03.25 7455
2898 구별과 구분 바람의종 2010.11.02 9521
2897 구비구비, 메꾸다 바람의종 2008.11.24 9565
2896 구설수 바람의종 2008.10.11 7104
2895 구소련 바람의종 2010.07.20 11853
2894 구슬러, 구슬려 / 거슬러, 거슬려 바람의종 2009.11.15 11088
2893 구저모디 file 바람의종 2009.12.14 8323
2892 구축함 바람의종 2007.06.04 9179
2891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風文 2022.09.03 1695
2890 국가 사전을 다시?(2,3) 주인장 2022.10.21 1490
2889 국가의 목소리 風文 2023.02.06 1721
2888 국면 바람의종 2007.06.04 9323
2887 국물, 멀국 / 건더기, 건데기 바람의종 2009.02.20 1298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