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181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통장을 부르다’와 ‘시끄럽다’

어떤 어려운 일을 성취한 경우 우리는 이를 널리 알리고 싶어 한다. 이때 북녘에서 쓰는 말 가운데 ‘통장을 부르다’라는 생소한 말이 있다. 북녘의 사전에서는 이 말을 “그 누구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 성과를 이룩하고 그것을 보란 듯이 큰소리로 공포하는 것”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놀라운 일이로다. 마지막 싸움이 될 이번 울돌목 해전은 벌써 통장을 부른 셈이나 다름없도다. 백성들이 이처럼 돕고 있으니 싸움하기 전에 이미 승패는 정해졌노라.”(<리순신 장군>, 김현구, 문예출판사, 1990년, 506쪽)와 같은 예가 있다.

‘시끄럽다’는 말은 북녘에서 “성가시도록 말썽이나 가탈이 많다”의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소리 개념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예를 들면 “가만 내버려두면 아낙네는 종일이라도 이야기를 계속할 수 있을 것 같았다. 해 가늠을 해 보니 10리나마 되는 명주촌에 들렸다가 돌재로 돌아가자면 날이 저물어 두만강 나루를 건너기 시끄러울 것 같았다. 오석하는 적당한 기회에 아낙네와 작별하고 걸음을 다우쳐 단숨에 명주촌에 들이댔다.”(<대지는 푸르다>,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81년, 287쪽)와 같이 쓰인다. 이때 ‘들렸다가’와 ‘다우쳐’는 남녘 표현으로는 ‘들렀다가’와 ‘다그쳐’가 된다.

전수태/전 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74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24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259
1060 캐러멜, 캬라멜 바람의종 2010.05.12 9038
1059 ‘가녁’과 ‘쏘다’ 바람의종 2010.05.12 13689
1058 부엌,주방,취사장 바람의종 2010.05.11 9094
1057 접두사 ‘군~’ 바람의종 2010.05.11 12360
1056 겁나게 퉁겁지라! 바람의종 2010.05.11 11563
1055 만큼 바람의종 2010.05.11 7757
1054 ~같이 바람의종 2010.05.10 9545
1053 정육점과 푸줏간 바람의종 2010.05.10 11089
1052 라면 바람의종 2010.05.10 9500
1051 시옷불규칙활용 바람의종 2010.05.09 9464
1050 아줌마 바람의종 2010.05.09 10373
1049 ‘꾹돈’과 ‘모대기다’ 바람의종 2010.05.09 13516
1048 아슴찮아라, 참! file 바람의종 2010.05.09 8476
1047 아저씨 바람의종 2010.05.08 9878
1046 쇠고기와 소고기 바람의종 2010.05.08 11434
1045 빚쟁이 바람의종 2010.05.08 10027
1044 ‘-어하다’ 바람의종 2010.05.07 10861
1043 진, 데님 바람의종 2010.05.07 10525
1042 ‘때식을 번지다’와 ‘재구를 치다’ 바람의종 2010.05.07 13324
1041 식혜와 식해 바람의종 2010.05.06 9836
1040 어미 ‘ㄹ게’ 바람의종 2010.05.06 8777
1039 억수로 기찹데이! file 바람의종 2010.05.06 1026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