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4.30 16:25

엄치미 개겁구마!

조회 수 10007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엄치미 개겁구마!

‘엄치미 개겁구마!’는 ‘엄청나게 가볍구먼!’이라는 뜻인데, 여기에서 ‘개겁다’는 고장말 ‘하깝다/허껍다/해깝다’와 함께 표준어 ‘가볍다’에 대응한다. ‘개겁다’는 ‘가볍다’가 ‘가볍다>가겹다>개겹다>개겁다’와 같은 소리의 변화를 겪은 고장말로, 주로 경상도와 함경도, 그와 인접한 지역에서 쓰는 말이다. “소화가 나와 장구를 왼손으로 살짝 들고 징채로 가겹게 두들기며 가락을 시작했다.”(<태백산맥> 조정래) “무겁아 가 다 가 가도(가지고 가도) 못할 긴데 우짤라 주는고 싶어서 들어보이 엄청 개겁운 기라.”(<한국구비문학대계> 경북편) 고장말에서 ‘ㅂ>ㄱ’과 같은 변화는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표준어 ‘재봉틀’에 대응하는 고장말 ‘자봉침’의 ‘자봉침>자공침~자광침’과 같은 변화가 한 예이다. 표준어의 ‘가볍다, 밉다’ 등은 ‘가벼워서, 미워서’와 같이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가 연결되면 ‘가벼우’(가벼우-+-어서>가벼워서)와 같이 단어의 꼴이 바뀌지만, ‘개겁다’는 ‘개겁어서’와 같이 단어의 꼴이 바뀌지 않는다. 이런 현상은 경상도와 함경도 고장말의 주된 특징 중의 하나이다.

‘개겁다’의 또다른 형태로는 ‘개갑다, 개굽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또한 ‘가볍다’가 소리의 변화를 겪은 고장말이다. “그러며 계섬이는 우길의 목줄기를 개갑게 싸쥐고 얼굴만 무섭게 씨루며(씨루다: 힘겨운 일을 이루기 위하여 애쓰다) 우길일 뒤흔들어 주다가 덥석 들어서 업었다.”(<탑> 한설야)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50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03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086
1060 둔지말 당두둑 바람의종 2008.07.10 7295
1059 깽깽이풀 바람의종 2008.03.06 7294
1058 그치다와 마치다 바람의종 2008.01.15 7293
1057 족두리꽃 바람의종 2008.03.19 7292
1056 자문 바람의종 2007.08.13 7292
1055 사이비 바람의종 2007.07.18 7288
1054 갑작사랑 바람의종 2008.05.05 7282
1053 소양강·우수주 바람의종 2008.06.08 7282
1052 바람의종 2008.08.21 7280
1051 이랑과 고랑 바람의종 2008.02.05 7274
1050 시말서 바람의종 2007.10.20 7274
1049 오늘은 왠지... 바람의종 2008.04.13 7274
1048 사리원과 원효 바람의종 2008.05.13 7273
1047 유명세를 타다 바람의종 2008.10.30 7273
1046 비지땀 風磬 2006.12.23 7272
1045 점고 바람의종 2007.08.17 7271
1044 우산나물 바람의종 2008.07.02 7269
1043 어물전 바람의종 2007.08.02 7268
1042 건달 바람의종 2010.02.06 7266
1041 오장이 바람의종 2008.12.28 7265
1040 와인 바람의종 2009.07.12 7264
1039 오시소마! 바람의종 2008.08.11 726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