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4.30 16:25

엄치미 개겁구마!

조회 수 10028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엄치미 개겁구마!

‘엄치미 개겁구마!’는 ‘엄청나게 가볍구먼!’이라는 뜻인데, 여기에서 ‘개겁다’는 고장말 ‘하깝다/허껍다/해깝다’와 함께 표준어 ‘가볍다’에 대응한다. ‘개겁다’는 ‘가볍다’가 ‘가볍다>가겹다>개겹다>개겁다’와 같은 소리의 변화를 겪은 고장말로, 주로 경상도와 함경도, 그와 인접한 지역에서 쓰는 말이다. “소화가 나와 장구를 왼손으로 살짝 들고 징채로 가겹게 두들기며 가락을 시작했다.”(<태백산맥> 조정래) “무겁아 가 다 가 가도(가지고 가도) 못할 긴데 우짤라 주는고 싶어서 들어보이 엄청 개겁운 기라.”(<한국구비문학대계> 경북편) 고장말에서 ‘ㅂ>ㄱ’과 같은 변화는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표준어 ‘재봉틀’에 대응하는 고장말 ‘자봉침’의 ‘자봉침>자공침~자광침’과 같은 변화가 한 예이다. 표준어의 ‘가볍다, 밉다’ 등은 ‘가벼워서, 미워서’와 같이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가 연결되면 ‘가벼우’(가벼우-+-어서>가벼워서)와 같이 단어의 꼴이 바뀌지만, ‘개겁다’는 ‘개겁어서’와 같이 단어의 꼴이 바뀌지 않는다. 이런 현상은 경상도와 함경도 고장말의 주된 특징 중의 하나이다.

‘개겁다’의 또다른 형태로는 ‘개갑다, 개굽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또한 ‘가볍다’가 소리의 변화를 겪은 고장말이다. “그러며 계섬이는 우길의 목줄기를 개갑게 싸쥐고 얼굴만 무섭게 씨루며(씨루다: 힘겨운 일을 이루기 위하여 애쓰다) 우길일 뒤흔들어 주다가 덥석 들어서 업었다.”(<탑> 한설야)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68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22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167
2358 에프원(F1) 바람의종 2011.11.21 8974
2357 에프엠 바람의종 2009.09.03 9594
2356 에요, 예요 風磬 2006.09.09 20014
2355 에두르기 바람의종 2008.05.24 7014
2354 에다와 에이다 바람의종 2010.11.05 9326
2353 에다 / 에이다 바람의종 2009.06.15 10223
2352 에누리 바람의종 2010.01.06 9401
2351 에누리 바람의종 2010.07.23 10115
2350 에너지 음료 바람의종 2012.06.15 11523
2349 엎어지다와 자빠지다 바람의종 2007.10.31 8116
2348 엉덩이와 궁둥이 바람의종 2010.08.19 9679
2347 엉겅퀴 바람의종 2008.03.22 5611
2346 엄한 사람 잡는다 바람의종 2011.11.14 9058
2345 엄치미 좋아! 바람의종 2009.09.26 7345
» 엄치미 개겁구마! 바람의종 2010.04.30 10028
2343 엄청 바람의종 2010.03.26 10402
2342 엄리대수와 아시 바람의종 2008.02.20 8246
2341 얽히고설키다 file 바람의종 2010.03.13 11350
2340 얼음보숭이·에스키모 바람의종 2008.03.14 9108
2339 얼만큼 바람의종 2009.09.24 9921
2338 얼레지 바람의종 2008.06.08 6023
2337 얼과 넋 바람의종 2007.10.10 855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