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4.30 16:25

엄치미 개겁구마!

조회 수 10015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엄치미 개겁구마!

‘엄치미 개겁구마!’는 ‘엄청나게 가볍구먼!’이라는 뜻인데, 여기에서 ‘개겁다’는 고장말 ‘하깝다/허껍다/해깝다’와 함께 표준어 ‘가볍다’에 대응한다. ‘개겁다’는 ‘가볍다’가 ‘가볍다>가겹다>개겹다>개겁다’와 같은 소리의 변화를 겪은 고장말로, 주로 경상도와 함경도, 그와 인접한 지역에서 쓰는 말이다. “소화가 나와 장구를 왼손으로 살짝 들고 징채로 가겹게 두들기며 가락을 시작했다.”(<태백산맥> 조정래) “무겁아 가 다 가 가도(가지고 가도) 못할 긴데 우짤라 주는고 싶어서 들어보이 엄청 개겁운 기라.”(<한국구비문학대계> 경북편) 고장말에서 ‘ㅂ>ㄱ’과 같은 변화는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표준어 ‘재봉틀’에 대응하는 고장말 ‘자봉침’의 ‘자봉침>자공침~자광침’과 같은 변화가 한 예이다. 표준어의 ‘가볍다, 밉다’ 등은 ‘가벼워서, 미워서’와 같이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가 연결되면 ‘가벼우’(가벼우-+-어서>가벼워서)와 같이 단어의 꼴이 바뀌지만, ‘개겁다’는 ‘개겁어서’와 같이 단어의 꼴이 바뀌지 않는다. 이런 현상은 경상도와 함경도 고장말의 주된 특징 중의 하나이다.

‘개겁다’의 또다른 형태로는 ‘개갑다, 개굽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또한 ‘가볍다’가 소리의 변화를 겪은 고장말이다. “그러며 계섬이는 우길의 목줄기를 개갑게 싸쥐고 얼굴만 무섭게 씨루며(씨루다: 힘겨운 일을 이루기 위하여 애쓰다) 우길일 뒤흔들어 주다가 덥석 들어서 업었다.”(<탑> 한설야)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63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15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130
1060 예쁜 걸, 예쁜걸 바람의종 2009.07.31 9936
1059 방불하다 바람의종 2009.07.31 10175
1058 지리하다 바람의종 2009.07.31 9429
1057 어깨 넘어, 어깨너머 바람의종 2009.08.01 14471
1056 동사활용 바람의종 2009.08.01 7222
1055 가듯, 갈 듯 바람의종 2009.08.01 10459
1054 억장이 무너지다 바람의종 2009.08.02 10519
1053 우레, 우뢰 바람의종 2009.08.02 7911
1052 사날, 나달 바람의종 2009.08.02 6620
1051 장애, 장해 바람의종 2009.08.03 9430
1050 할 게, 할게 바람의종 2009.08.03 9740
1049 간지르다, 간질이다 바람의종 2009.08.03 8600
1048 발자욱, 발자국 바람의종 2009.08.04 12108
1047 우통 벗고 등물 바람의종 2009.08.04 10266
1046 이루어지다, 이루다 바람의종 2009.08.04 9340
1045 '지'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8.05 9162
1044 아이구, 아이쿠, 에그머니, 아이구머니 바람의종 2009.08.05 8132
1043 사리 바람의종 2009.08.05 6777
1042 얇다, 가늘다 바람의종 2009.08.06 14340
1041 인상착의, 금품수수 바람의종 2009.08.06 7481
1040 안 해, 안돼 바람의종 2009.08.06 7741
1039 맛빼기, 맛배기, 맛뵈기 바람의종 2009.08.07 1054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