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4.27 15:40

~라고 믿다

조회 수 11021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라고 믿다

사전을 뒤져 ‘라고’를 찾아보면 여러 가지로 설명하고 있다. 사전마다 풀이가 조금씩 다르기도 하다. 누가 한 말이나 쓴 글 따위를 인용하고 뒤에 ‘라고’(받침 있는 말 뒤에서는 ‘이라고’)를 이으면, 이때의 ‘라고’는 대체로 직접 인용을 나타내는 격조사로 본다. 그래서 ‘인용격 조사’라고 한다. 직접 인용이므로 원래 한 말 그대로, 원래 쓰인 글 그대로 인용해야 하고 인용 부분은 대체로 따옴표로 처리한다.

“우리 사회에는 ‘가는 말이 험해야 오는 말이 곱다’라고 믿는 사람들이 더 많은 것 같다.” 신문 칼럼에서 잘라온 구절이다.

인용격 조사 ‘라고’를 썼다. 그런데 ‘라고’ 뒤에 ‘믿는’이라는 동사가 이어졌다. 인용격 조사 ‘라고’ 뒤에는 ‘말하다’ 또는 말하는 행위를 담고 있는 동사 ‘하다’, ‘대꾸하다’, ‘언급하다’, ‘묻다’, ‘반문하다’, ‘쓰다’, ‘내뱉다’ 등의 동사가 와야 반듯하다. ‘~라고 말했다’는 반듯하지만, ‘~라고 믿었다’는 어색하다.

인용격 조사에는 간접 인용으로 쓰이는 ‘고’가 있다. “그는 빨리 온다고 했다”에서 ‘고’가 간접 인용이다. 간접 인용일 경우에는 꼭 원래 한 말 그대로 인용할 필요는 없고 말한 내용을 담고 있으면 된다. 이 간접 인용 ‘고’를 직접 인용에도 흔히 쓴다. “우리 사회에는 ‘가는 말이 험해야 오는 말이 곱다’고 믿는 사람들이 더 많은 것 같다”고 하면 ‘믿는’이라는 말이 어색함에서 벗어날 수 있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69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30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005
136 할 일 없이 / 하릴없이 바람의종 2010.08.03 13048
135 할려고? 하려고? 바람의종 2010.07.25 14704
134 할말과 못할말 바람의종 2008.01.05 7917
133 할망구 바람의종 2007.04.24 11468
132 할미새 바람의종 2009.12.04 10217
131 할증료 바람의종 2007.10.26 7747
130 함께하다/ 함께 하다, 대신하다/ 대신 하다 바람의종 2009.03.29 14720
129 함바집, 노가다 바람의종 2012.11.28 29772
128 함함하다 바람의종 2012.05.18 11411
127 함흥차사 바람의종 2007.12.24 12081
126 합사, 분사 바람의종 2010.07.25 12180
125 합쇼체 바람의종 2010.03.18 12347
124 합하 바람의종 2007.09.20 8640
123 핫도그와 불독 바람의종 2008.09.18 9152
122 핫바지 바람의종 2007.04.24 8458
121 핫어미와 핫아비 바람의종 2010.01.23 11870
120 해거름, 고샅 바람의종 2008.10.11 8132
119 해라體와 하라體 바람의종 2008.05.12 7008
118 해설피 바람의종 2010.05.31 15024
117 해오라기 바람의종 2009.05.17 8647
116 해오라기난초 바람의종 2008.04.05 8739
115 해장 바람의종 2012.07.23 1363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