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4.25 16:35

디기 해깝지라!

조회 수 9515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디기 해깝지라!

‘디기 해깝지라’는 ‘굉장히 가볍지요’라는 뜻인데, 여기에서 ‘해깝다’는 ‘하깝다/허껍다’와 함께 표준어 ‘가볍다’에 대응하는 고장말이다. ‘해깝다’는 ‘경기, 충청, 제주’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과 중국 동포 사회에서, ‘하깝다/허껍다’는 경상과 함경 지역에서 쓰인다. ‘해깝다’는 북녘의 대부분 지역에서 쓰이기 때문에 <조선말대사전>에는 ‘(사람의 행실이나 언행이) 아주 가볍다’는 뜻으로 풀이되어 실려 있다. “걸음도 해깝고 방울 소리가 밤 벌판에 한층 청청하게 울렸다.”(<메밀꽃 필 무렵> 이효석) “들돌이 해깝게 땅에서 뿌리가 떨어졌다.”(<녹두장군> 송기숙) ‘해깝다’의 말뿌리는 분명치 않다. ‘속이 비어 있음’을 의미하는 ‘허’와 형용사를 만드는 접사 ‘-갑다’가 결합한 ‘헛갑다’에서 그 말뿌리를 찾아볼 수도 있고, ‘가깝다>하깝다’와 같은 단순한 소리의 변화를 겪은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ㄱ’과 ‘ㅎ’의 교체는 고장말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소리의 변화이다.(고숩다>호숩다(고소하다))

‘해깝다’의 또다른 형태로 ‘해깝하다/해깝허다’와 ‘사깝다’를 들 수 있다. 앞엣것은 경상과 전라, 뒤엣것은 제주 고장말인데, ‘사깝다’는 ‘하깝다>사깝다’와 같은 소리의 변화를 겪은 것이다. “소금짐 우에다 질삼 필이고 머고 얹어 나아도 원청 돈을 잘 벌어노이 해깝해.”(<한국구비문학대계> 경북편)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32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84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812
2094 눈사리 바람의종 2009.11.10 9589
2093 호두과자 바람의종 2008.04.10 9589
2092 영계 바람의종 2007.08.07 9580
2091 갯벌과 개펄 바람의종 2010.02.15 9576
2090 내 자신 바람의종 2010.07.05 9575
2089 덕아웃이 아니고 왜 더그아웃? 바람의종 2010.01.06 9573
2088 강술 바람의종 2010.06.08 9573
2087 지루하다 바람의종 2007.03.27 9569
2086 가라, 와라 바람의종 2011.11.20 9569
2085 벤치마킹 바람의종 2009.12.21 9565
2084 벽창호 바람의종 2010.01.26 9563
2083 걸맞는? 걸맞은? 바람의종 2009.12.18 9562
2082 조언과 충고 바람의종 2012.05.22 9560
2081 태어나다 바람의종 2012.02.28 9556
2080 낱말장 바람의종 2012.06.22 9553
2079 노숙인과 노숙자 바람의종 2009.11.10 9553
2078 졸립다 / 졸리다 바람의종 2009.07.08 9552
2077 홀몸 바람의종 2007.04.27 9551
2076 ‘렷다’ 바람의종 2010.04.27 9549
2075 깡소주 바람의종 2008.07.04 9549
2074 별나다와 뿔나다의 ‘나다’ 바람의종 2011.05.01 9548
2073 돌서덕 바람의종 2008.02.05 954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