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4.25 16:35

디기 해깝지라!

조회 수 9518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디기 해깝지라!

‘디기 해깝지라’는 ‘굉장히 가볍지요’라는 뜻인데, 여기에서 ‘해깝다’는 ‘하깝다/허껍다’와 함께 표준어 ‘가볍다’에 대응하는 고장말이다. ‘해깝다’는 ‘경기, 충청, 제주’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과 중국 동포 사회에서, ‘하깝다/허껍다’는 경상과 함경 지역에서 쓰인다. ‘해깝다’는 북녘의 대부분 지역에서 쓰이기 때문에 <조선말대사전>에는 ‘(사람의 행실이나 언행이) 아주 가볍다’는 뜻으로 풀이되어 실려 있다. “걸음도 해깝고 방울 소리가 밤 벌판에 한층 청청하게 울렸다.”(<메밀꽃 필 무렵> 이효석) “들돌이 해깝게 땅에서 뿌리가 떨어졌다.”(<녹두장군> 송기숙) ‘해깝다’의 말뿌리는 분명치 않다. ‘속이 비어 있음’을 의미하는 ‘허’와 형용사를 만드는 접사 ‘-갑다’가 결합한 ‘헛갑다’에서 그 말뿌리를 찾아볼 수도 있고, ‘가깝다>하깝다’와 같은 단순한 소리의 변화를 겪은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ㄱ’과 ‘ㅎ’의 교체는 고장말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소리의 변화이다.(고숩다>호숩다(고소하다))

‘해깝다’의 또다른 형태로 ‘해깝하다/해깝허다’와 ‘사깝다’를 들 수 있다. 앞엣것은 경상과 전라, 뒤엣것은 제주 고장말인데, ‘사깝다’는 ‘하깝다>사깝다’와 같은 소리의 변화를 겪은 것이다. “소금짐 우에다 질삼 필이고 머고 얹어 나아도 원청 돈을 잘 벌어노이 해깝해.”(<한국구비문학대계> 경북편)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87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38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365
2116 너무 바람의종 2010.04.10 9640
2115 나룻 바람의종 2010.07.20 9638
2114 하루살이 바람의종 2007.04.01 9638
2113 곤색 바람의종 2008.02.02 9636
2112 질투 바람의종 2009.11.29 9632
2111 우리말의 짜임새와 뿌리 바람의종 2008.03.07 9630
2110 햇볕, 햇빛, 햇살, 햇발 바람의종 2009.07.18 9630
2109 ~마라 / ~말라 바람의종 2009.02.02 9629
2108 긴가민가하다 바람의종 2009.12.18 9622
2107 담합 = 짬짜미 / 짬짬이 바람의종 2011.12.27 9622
2106 임마, 상판때기 바람의종 2009.11.09 9621
2105 시덥지 않은 소리 바람의종 2010.10.30 9620
2104 간지 바람의종 2010.08.03 9615
2103 첫번째, 첫 번째 바람의종 2011.12.27 9614
2102 베테랑 바람의종 2010.07.10 9611
2101 생략되는 주격조사 바람의종 2010.01.23 9608
2100 어떡해, 어떻게, 어떻해 바람의종 2008.09.27 9606
2099 거덜이 나다 바람의종 2007.12.26 9603
2098 멋, 맵시 바람의종 2010.07.18 9603
2097 호두과자 바람의종 2008.04.10 9599
2096 영계 바람의종 2007.08.07 9596
2095 아이스께끼 바람의종 2009.08.06 959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