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4.25 16:35

디기 해깝지라!

조회 수 9544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디기 해깝지라!

‘디기 해깝지라’는 ‘굉장히 가볍지요’라는 뜻인데, 여기에서 ‘해깝다’는 ‘하깝다/허껍다’와 함께 표준어 ‘가볍다’에 대응하는 고장말이다. ‘해깝다’는 ‘경기, 충청, 제주’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과 중국 동포 사회에서, ‘하깝다/허껍다’는 경상과 함경 지역에서 쓰인다. ‘해깝다’는 북녘의 대부분 지역에서 쓰이기 때문에 <조선말대사전>에는 ‘(사람의 행실이나 언행이) 아주 가볍다’는 뜻으로 풀이되어 실려 있다. “걸음도 해깝고 방울 소리가 밤 벌판에 한층 청청하게 울렸다.”(<메밀꽃 필 무렵> 이효석) “들돌이 해깝게 땅에서 뿌리가 떨어졌다.”(<녹두장군> 송기숙) ‘해깝다’의 말뿌리는 분명치 않다. ‘속이 비어 있음’을 의미하는 ‘허’와 형용사를 만드는 접사 ‘-갑다’가 결합한 ‘헛갑다’에서 그 말뿌리를 찾아볼 수도 있고, ‘가깝다>하깝다’와 같은 단순한 소리의 변화를 겪은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ㄱ’과 ‘ㅎ’의 교체는 고장말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소리의 변화이다.(고숩다>호숩다(고소하다))

‘해깝다’의 또다른 형태로 ‘해깝하다/해깝허다’와 ‘사깝다’를 들 수 있다. 앞엣것은 경상과 전라, 뒤엣것은 제주 고장말인데, ‘사깝다’는 ‘하깝다>사깝다’와 같은 소리의 변화를 겪은 것이다. “소금짐 우에다 질삼 필이고 머고 얹어 나아도 원청 돈을 잘 벌어노이 해깝해.”(<한국구비문학대계> 경북편)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54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17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056
1038 모밀국수, 메밀국수, 소바 바람의종 2009.08.07 9924
1037 -화하다, -화되다 바람의종 2009.08.07 9588
1036 깡총깡총 / 부조 바람의종 2009.08.27 8605
1035 "잘"과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8.27 23963
1034 역할 / 역활 바람의종 2009.08.27 20002
1033 무더위 바람의종 2009.08.29 6009
1032 '-화하다' / '-화시키다' 바람의종 2009.08.29 18060
1031 유례 / 유래 바람의종 2009.08.29 10813
1030 "드리다"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01 18639
1029 고문과, 짬밥 바람의종 2009.09.01 9296
1028 야채 / 채소 바람의종 2009.09.01 6756
1027 ~ 화(化) 바람의종 2009.09.06 6960
1026 "차"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06 12301
1025 흉내 / 시늉 바람의종 2009.09.07 11861
1024 살사리꽃 바람의종 2009.09.07 7129
1023 인용 / 원용 바람의종 2009.09.07 9925
1022 낼름 / 웅큼 바람의종 2009.09.18 9350
1021 '받다'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18 25628
1020 파티쉐 바람의종 2009.09.18 10301
1019 ~상(上) 줄여쓰기 바람의종 2009.09.21 8603
1018 ~려, ~러 바람의종 2009.09.21 9848
1017 수입산 바람의종 2009.09.21 809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