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4.25 16:35

디기 해깝지라!

조회 수 9533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디기 해깝지라!

‘디기 해깝지라’는 ‘굉장히 가볍지요’라는 뜻인데, 여기에서 ‘해깝다’는 ‘하깝다/허껍다’와 함께 표준어 ‘가볍다’에 대응하는 고장말이다. ‘해깝다’는 ‘경기, 충청, 제주’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과 중국 동포 사회에서, ‘하깝다/허껍다’는 경상과 함경 지역에서 쓰인다. ‘해깝다’는 북녘의 대부분 지역에서 쓰이기 때문에 <조선말대사전>에는 ‘(사람의 행실이나 언행이) 아주 가볍다’는 뜻으로 풀이되어 실려 있다. “걸음도 해깝고 방울 소리가 밤 벌판에 한층 청청하게 울렸다.”(<메밀꽃 필 무렵> 이효석) “들돌이 해깝게 땅에서 뿌리가 떨어졌다.”(<녹두장군> 송기숙) ‘해깝다’의 말뿌리는 분명치 않다. ‘속이 비어 있음’을 의미하는 ‘허’와 형용사를 만드는 접사 ‘-갑다’가 결합한 ‘헛갑다’에서 그 말뿌리를 찾아볼 수도 있고, ‘가깝다>하깝다’와 같은 단순한 소리의 변화를 겪은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ㄱ’과 ‘ㅎ’의 교체는 고장말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소리의 변화이다.(고숩다>호숩다(고소하다))

‘해깝다’의 또다른 형태로 ‘해깝하다/해깝허다’와 ‘사깝다’를 들 수 있다. 앞엣것은 경상과 전라, 뒤엣것은 제주 고장말인데, ‘사깝다’는 ‘하깝다>사깝다’와 같은 소리의 변화를 겪은 것이다. “소금짐 우에다 질삼 필이고 머고 얹어 나아도 원청 돈을 잘 벌어노이 해깝해.”(<한국구비문학대계> 경북편)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27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85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824
2292 허접쓰레기/허섭스레기 바람의종 2008.09.20 9287
2291 어디 가여? 바람의종 2008.09.23 4881
2290 파이팅, 오바이트, 플레이, 커닝 바람의종 2008.09.23 8757
2289 쥐어 주다, 쥐여 주다 바람의종 2008.09.23 15844
2288 있냐? 없냐? 바람의종 2008.09.23 8996
2287 맵토이 바람의종 2008.09.24 6968
2286 맨날, 만날 바람의종 2008.09.24 7423
2285 딛었다, 디뎠다 바람의종 2008.09.24 8901
2284 당신은 누구시길래 바람의종 2008.09.24 8280
2283 핀과 핀트 바람의종 2008.09.25 8910
2282 보약 다리기 바람의종 2008.09.25 7935
2281 옷매무새, 옷매무시 바람의종 2008.09.25 9292
2280 윗옷, 웃옷 바람의종 2008.09.25 7829
2279 바람의종 2008.09.26 5211
2278 주소서 바람의종 2008.09.26 5907
2277 안절부절 하다 바람의종 2008.09.26 7026
2276 결단, 결딴 바람의종 2008.09.26 8584
2275 몇일, 며칠 바람의종 2008.09.26 6700
2274 돟습니다레! 바람의종 2008.09.27 6641
2273 어떡해, 어떻게, 어떻해 바람의종 2008.09.27 9609
2272 작니?, 작으니? 바람의종 2008.09.27 6610
2271 밤을 지새다, 지새우다 바람의종 2008.09.27 1257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