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4.25 16:35

디기 해깝지라!

조회 수 9546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디기 해깝지라!

‘디기 해깝지라’는 ‘굉장히 가볍지요’라는 뜻인데, 여기에서 ‘해깝다’는 ‘하깝다/허껍다’와 함께 표준어 ‘가볍다’에 대응하는 고장말이다. ‘해깝다’는 ‘경기, 충청, 제주’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과 중국 동포 사회에서, ‘하깝다/허껍다’는 경상과 함경 지역에서 쓰인다. ‘해깝다’는 북녘의 대부분 지역에서 쓰이기 때문에 <조선말대사전>에는 ‘(사람의 행실이나 언행이) 아주 가볍다’는 뜻으로 풀이되어 실려 있다. “걸음도 해깝고 방울 소리가 밤 벌판에 한층 청청하게 울렸다.”(<메밀꽃 필 무렵> 이효석) “들돌이 해깝게 땅에서 뿌리가 떨어졌다.”(<녹두장군> 송기숙) ‘해깝다’의 말뿌리는 분명치 않다. ‘속이 비어 있음’을 의미하는 ‘허’와 형용사를 만드는 접사 ‘-갑다’가 결합한 ‘헛갑다’에서 그 말뿌리를 찾아볼 수도 있고, ‘가깝다>하깝다’와 같은 단순한 소리의 변화를 겪은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ㄱ’과 ‘ㅎ’의 교체는 고장말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소리의 변화이다.(고숩다>호숩다(고소하다))

‘해깝다’의 또다른 형태로 ‘해깝하다/해깝허다’와 ‘사깝다’를 들 수 있다. 앞엣것은 경상과 전라, 뒤엣것은 제주 고장말인데, ‘사깝다’는 ‘하깝다>사깝다’와 같은 소리의 변화를 겪은 것이다. “소금짐 우에다 질삼 필이고 머고 얹어 나아도 원청 돈을 잘 벌어노이 해깝해.”(<한국구비문학대계> 경북편)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48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18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061
1148 딴죽, 딴지 / 부비디, 비비다 바람의종 2009.03.29 10553
1147 딴전보다, -피우다, -부리다 바람의종 2008.01.03 8815
1146 딴전 바람의종 2010.10.16 10198
1145 딴따라 바람의종 2010.08.25 13035
1144 딱총새 바람의종 2009.10.02 9296
1143 딱따구리 바람의종 2009.05.21 10898
1142 딱 그 한마디 風文 2021.09.06 1033
1141 따오기 바람의종 2009.05.02 8162
1140 따블 백 바람의종 2009.07.14 8075
1139 따발/따발총 바람의종 2008.03.16 7750
1138 따 놓은 당상 바람의종 2009.03.27 7979
1137 딤섬 바람의종 2010.01.15 8606
1136 딜위·그믐딘이 바람의종 2008.07.26 7071
1135 딛었다, 디뎠다 바람의종 2008.09.24 8930
1134 디카, 필카, 셀카 바람의종 2010.02.22 9538
1133 디엠제트 바람의종 2011.11.13 11739
1132 디려놓곡 내여놓곡 바람의종 2009.04.30 5687
» 디기 해깝지라! 바람의종 2010.04.25 9546
1130 디귿불규칙용언 바람의종 2010.03.16 12881
1129 등용문 바람의종 2010.07.17 9284
1128 등용문 바람의종 2013.01.15 18110
1127 등용문 바람의종 2007.06.30 696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