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4.24 15:05

미셸, 섀도

조회 수 9296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미셸, 섀도

한글 맞춤법은 한글을 이용하여 우리말을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게 적는 방법을 정한 것이다. 외래어 표기 역시 몇몇 예외를 제외하고는 이런 기본적인 원리가 적용되기 마련인데 여기에서 벗어나는 것이 종종 보인다.

서양 사람 이름 ‘Michelle’은 그 소리에 맞추어 ‘미셸’로 적어야 하나, ‘미쉘’로 쓰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미쉘’의 ‘쉐’는 소리 [셰]와 거리가 멀다. ‘쉐’는 [궤]의 첫소리만 ‘ㅅ’으로 바꾼 것을 적은 것이기 때문이다. 만약 ‘쉐’가 [셰]를 적은 것이라면 ‘궤’는 [계]를 적은 것이 된다. 우리말 ‘쇠’의 가장 흔한 발음이 [쉐]인 것을 떠올리면 더 빨리 ‘쉐’의 발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표기의 혼동은 외국어의 [∫]를 흔히 ‘쉬’로 적는 데서 비롯된 듯하다. 즉 ‘캐시’를 ‘캐쉬’로 잘못 적다 보니 ‘섀’나 ‘셰’로 적어야 할 것을 ‘쉐’로 적게 되었을 것이라는 말이다.

이렇게 소리와 맞지 않게 ‘쉐’를 쓰는 다른 말이 더러 있다. 영화 제목에 등장하는 ‘shadow’는 대개 ‘쉐도우’라고 적혔으나 ‘섀도’가 맞다. 개의 품종 ‘shepherd’는 ‘셰퍼드’로 적어야 하며, 상표로 쓰이고 있는 ‘쉐라톤’과 ‘포르쉐’도 발음대로 적자면 각각 영어 표기법과 독일어 표기법을 적용하여 ‘셰러턴’(Sheraton)과 ‘포르셰’(Porsche)로 적는 것이 옳다. 1960년대의 프랑스 영화 <쉘부르의 우산>(The Umbrellas of Cherbourg)의 바른 표기는 ‘셰르부르의 우산’이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93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54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208
2424 억수로 가찹데이! 바람의종 2010.04.23 11845
2423 ‘바드민톤’과 ‘아수한 이별’ 바람의종 2010.04.23 11944
2422 이판사판 바람의종 2010.04.23 10692
2421 ㅂ불규칙 활용 바람의종 2010.04.23 11748
» 미셸, 섀도 바람의종 2010.04.24 9296
2419 실랑이와 승강이 바람의종 2010.04.24 10553
2418 동냥 바람의종 2010.04.24 11582
2417 효능, 효과 바람의종 2010.04.25 10786
2416 디기 해깝지라! 바람의종 2010.04.25 9567
2415 허발 바람의종 2010.04.25 11248
2414 어미 ‘ㄹ걸’ 바람의종 2010.04.25 10698
2413 ‘곧은밸’과 ‘면비교육’ 바람의종 2010.04.26 10422
2412 쿠사리 바람의종 2010.04.26 12209
2411 우연찮게 바람의종 2010.04.26 8355
2410 가시버시 바람의종 2010.04.26 10162
2409 ~라고 믿다 바람의종 2010.04.27 11002
2408 ~섰거라 바람의종 2010.04.27 10746
2407 ‘렷다’ 바람의종 2010.04.27 9711
2406 엄치미 개겁구마! 바람의종 2010.04.30 10051
2405 ‘통장을 부르다’와 ‘시끄럽다’ 바람의종 2010.04.30 12323
2404 곤욕과 곤혹 바람의종 2010.04.30 9418
2403 의존명사 ‘만’ 바람의종 2010.04.30 1113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