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4.24 15:05

미셸, 섀도

조회 수 9281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미셸, 섀도

한글 맞춤법은 한글을 이용하여 우리말을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게 적는 방법을 정한 것이다. 외래어 표기 역시 몇몇 예외를 제외하고는 이런 기본적인 원리가 적용되기 마련인데 여기에서 벗어나는 것이 종종 보인다.

서양 사람 이름 ‘Michelle’은 그 소리에 맞추어 ‘미셸’로 적어야 하나, ‘미쉘’로 쓰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미쉘’의 ‘쉐’는 소리 [셰]와 거리가 멀다. ‘쉐’는 [궤]의 첫소리만 ‘ㅅ’으로 바꾼 것을 적은 것이기 때문이다. 만약 ‘쉐’가 [셰]를 적은 것이라면 ‘궤’는 [계]를 적은 것이 된다. 우리말 ‘쇠’의 가장 흔한 발음이 [쉐]인 것을 떠올리면 더 빨리 ‘쉐’의 발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표기의 혼동은 외국어의 [∫]를 흔히 ‘쉬’로 적는 데서 비롯된 듯하다. 즉 ‘캐시’를 ‘캐쉬’로 잘못 적다 보니 ‘섀’나 ‘셰’로 적어야 할 것을 ‘쉐’로 적게 되었을 것이라는 말이다.

이렇게 소리와 맞지 않게 ‘쉐’를 쓰는 다른 말이 더러 있다. 영화 제목에 등장하는 ‘shadow’는 대개 ‘쉐도우’라고 적혔으나 ‘섀도’가 맞다. 개의 품종 ‘shepherd’는 ‘셰퍼드’로 적어야 하며, 상표로 쓰이고 있는 ‘쉐라톤’과 ‘포르쉐’도 발음대로 적자면 각각 영어 표기법과 독일어 표기법을 적용하여 ‘셰러턴’(Sheraton)과 ‘포르셰’(Porsche)로 적는 것이 옳다. 1960년대의 프랑스 영화 <쉘부르의 우산>(The Umbrellas of Cherbourg)의 바른 표기는 ‘셰르부르의 우산’이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39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88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839
1456 쇼바, 샥 바람의종 2008.11.12 7826
1455 수 표현 바람의종 2011.12.14 10000
1454 수구리 바람의종 2009.05.04 7357
1453 수근거리다, 소근거리다 바람의종 2010.01.26 10699
1452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582
1451 수능 듣기평가 바람의종 2011.11.25 12810
1450 수다 바람의종 2012.05.03 7937
1449 수달 file 바람의종 2009.09.22 6066
1448 수렴 청정 바람의종 2007.12.13 8371
1447 수뢰 바람의종 2012.12.11 18092
1446 수리수리마수리 바람의종 2008.02.16 10410
1445 수만이 바람의종 2008.09.29 6263
1444 수수방관 바람의종 2007.12.14 7279
1443 수순 바람의종 2007.10.19 10399
1442 수어 / 닭어리 風文 2020.07.04 2307
1441 수육, 편육, 제육 바람의종 2009.02.05 10350
1440 수입산 바람의종 2009.09.21 8106
1439 수입산? 외국산? 바람의종 2012.12.03 19071
1438 수자리와 정지 바람의종 2008.05.23 8150
1437 수작 바람의종 2010.06.16 10633
1436 수진이 고개 바람의종 2008.03.13 9987
1435 수청 바람의종 2007.07.27 856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