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4.24 15:05

미셸, 섀도

조회 수 9266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미셸, 섀도

한글 맞춤법은 한글을 이용하여 우리말을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게 적는 방법을 정한 것이다. 외래어 표기 역시 몇몇 예외를 제외하고는 이런 기본적인 원리가 적용되기 마련인데 여기에서 벗어나는 것이 종종 보인다.

서양 사람 이름 ‘Michelle’은 그 소리에 맞추어 ‘미셸’로 적어야 하나, ‘미쉘’로 쓰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미쉘’의 ‘쉐’는 소리 [셰]와 거리가 멀다. ‘쉐’는 [궤]의 첫소리만 ‘ㅅ’으로 바꾼 것을 적은 것이기 때문이다. 만약 ‘쉐’가 [셰]를 적은 것이라면 ‘궤’는 [계]를 적은 것이 된다. 우리말 ‘쇠’의 가장 흔한 발음이 [쉐]인 것을 떠올리면 더 빨리 ‘쉐’의 발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표기의 혼동은 외국어의 [∫]를 흔히 ‘쉬’로 적는 데서 비롯된 듯하다. 즉 ‘캐시’를 ‘캐쉬’로 잘못 적다 보니 ‘섀’나 ‘셰’로 적어야 할 것을 ‘쉐’로 적게 되었을 것이라는 말이다.

이렇게 소리와 맞지 않게 ‘쉐’를 쓰는 다른 말이 더러 있다. 영화 제목에 등장하는 ‘shadow’는 대개 ‘쉐도우’라고 적혔으나 ‘섀도’가 맞다. 개의 품종 ‘shepherd’는 ‘셰퍼드’로 적어야 하며, 상표로 쓰이고 있는 ‘쉐라톤’과 ‘포르쉐’도 발음대로 적자면 각각 영어 표기법과 독일어 표기법을 적용하여 ‘셰러턴’(Sheraton)과 ‘포르셰’(Porsche)로 적는 것이 옳다. 1960년대의 프랑스 영화 <쉘부르의 우산>(The Umbrellas of Cherbourg)의 바른 표기는 ‘셰르부르의 우산’이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57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23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111
1456 딴죽걸다 바람의종 2008.01.03 9354
1455 괜스럽다 바람의종 2010.08.05 9355
1454 납득하다 바람의종 2007.10.16 9356
1453 브로마이드(bromide) 바람의종 2008.02.13 9357
1452 과다경쟁 바람의종 2012.05.02 9358
1451 단도직입 바람의종 2007.11.02 9360
1450 접미사 ‘-짜리’ 바람의종 2010.02.09 9361
1449 중앙아시아 언어들 바람의종 2008.01.30 9364
1448 고백, 자백 바람의종 2010.11.03 9365
1447 호박고지 바람의종 2008.01.05 9367
1446 달개비 바람의종 2008.01.27 9367
1445 겸손해 하다 바람의종 2010.05.06 9368
1444 량, 양 (量) 바람의종 2008.10.04 9370
1443 정계 / 정가 바람의종 2012.07.16 9370
1442 허롱이 바람의종 2009.05.09 9377
1441 숙맥 바람의종 2010.05.30 9382
1440 외골수, 외곬으로, 투성이여서 바람의종 2009.04.30 9384
1439 한터와 자갈치 바람의종 2008.03.12 9386
1438 곤욕과 곤혹 바람의종 2010.04.30 9389
1437 -씩 바람의종 2010.01.23 9401
1436 속도위반 딱지를 뗐다 바람의종 2009.02.12 9403
1435 어머님 전 상서 바람의종 2012.01.23 94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 157 Next
/ 157